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대암산 / 大巖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화경면과 희천군 북면에 걸쳐 있는 산. 대암산의 높이는 1,566m로, 적유령산맥(狄踰嶺山脈)에 속하며, 북동쪽의 백암산(白巖山, 1,823m), 북서쪽의 고암산(姑巖山, 1,763m)과 더불어 평안북도 최고의 삼각연봉을 이룬다. 적유령산맥은 자강도 용

  • 대암산 / 大巖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부전군과 양강도 풍서군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205m로, 북쪽에 두운봉(頭雲峯, 2,487m)이 있고, 남쪽으로 백산(白山, 2,476m)ㆍ북수백산(北水白山, 2,522m)ㆍ차일봉(遮日峯, 2,056m) 등 2,000m 이상의 고산들과 함께 개마고원 위에

  • 대야도 / 大也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44명(남 15명 여 29명)이고, 세대수는 27세대이다. 1671년(현종 12)에 정씨가 처음으로 들어와 살았다고 전한다. 취락은 중앙 저지의 동북쪽으로 트인 만안(灣岸)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 대연지봉 / 大臙脂峯 [지리/자연지리]

    양강도 삼지연시 신무성 노동자구에 있는 산. 해발 2,358m의 산으로 백두산의 장군봉으로부터 남동 방향으로 4.5㎞ 떨어진 곳에 있으며, 산세는 매우 웅대하고, 산정은 둥글다. 대연지봉과 소연지봉 사이의 기슭의 해발 2.110m에는 1980년 1월에 천연기념물 제35

  • 대우산 / 大愚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양구군 동면과 해안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179m이다. 대우산은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는 가칠봉(加七峰, 1,242m), 남쪽에는 두솔산(兜率山, 1,148m)과 대암산(大岩山, 1,314m)이 각각 솟아 있다. 동쪽 사면으로

  • 대이작도 / 大伊作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속하는 섬. 대이작도의 인구는 2002에는 세대수와 인구수는 74세대, 166명이며 1994년보다 9세대 및 32명이 늘었다. 농업세대는 47세대에서 39세대로 줄었으며, 어업세대수는 14세대에서 19세대로 늘었다. 주민의 대부분은 반농반어로

  • 대저도 / 大猪島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금야군(金野郡)에 속하는 섬. 대저도는 면적 6.755㎢, 해안선길이 6.5㎞, 고도 170m의 원추형의 바위섬으로, 영흥만의 북쪽 송정만 안쪽 호도면 가까이에 있으며 큰돌섬으로도 불린다. 담수와 해수가 접하는 곳이어서 일제강점기부터 자연생굴의 채취와 양식이

  • 대청도 / 大靑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에 속하는 섬. 『고려도경』에 "대청서(大靑嶼)는 멀리서 바라보면 울창한 것이 마치 눈썹을 그리는 검푸른 먹과 같다 하여, 고려인들이 이름을 붙인 것이다"한 것에서, 이 섬이 '푸른 섬'으로 불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농산물로는 약간의 쌀과 보

  • 대청호 / 大淸湖 [지리/자연지리]

    대전광역시 대덕구·동구, 충청북도 보은군·청주시 사이에 건설된 복합형 댐에 의해 형성된 인공호수. 금강 수계 최초의 다목적 인공 저수지로 1975년 3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5개년에 걸쳐 4대강 유역 수자원 개발 계획이 일환으로 대전광역시 대덕구 미호동과 충청북도

  • 대초도 / 大草島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나진시 초도동에 속한 섬. 면적 4.5㎢. 섬 전체는 남북축이 긴 달걀 모양을 하고, 북쪽의 소초도(小草島), 북동쪽의 성정단(城亭端)과 함께 나진항을 감싸는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항이 북한 3항으로 또, 현재는 나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의 중심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