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신종교 총 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신종교
무을교 / 戊乙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53년 이동옥(李東玉)이 전북 김제군 금산면 용호리에서 창립하였다. 김계주(金械朱) 밑에서 지도를 받던 이동옥은 1950년 김계주가 죽자 무을교를 창립하였다. 그는 포교활동보다 증산사상과 <주역> 연구에 관심을 갖고, 필사본으로 된 많은 저
미륵불교 / 彌勒佛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34년 정인표(鄭仁杓)가 전북 완주군 용지면 간중리에서 창립하였다. 정인표는 간중리 미륵산 산제당에서 오주문(五呪文)으로 치성을 하던 중 3일 만에 천신으로부터 도통을 받아, 자신에게 접응한 것이 미륵불이라고 하며 자신을 인불(人佛)이라고
반천무지법배 / 攀天撫地法拜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甑山敎)에서 신앙의 대상에 대하여 절하는 방법. 이 경배법은 강일순(姜一淳)이 포교활동을 할 때, 종이에다 사람을 그려 벽에 붙이고 자신이 그 앞에 선 다음, 자기의 추종자들에게 자기를 향해 네 번 절하고 마음으로 각자의 소원을 아뢰라고 하면서 가르쳐 준 방법이
보천교 / 普天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11년 차경석(車京石)이 전북 정읍군 입암면 대흥리에서 창립하였다. 1936년 차경석이 죽자 신파와 구파로 분열되었다. 신파와 구파의 쟁점은 교조의 추대 문제로, 신파는 차경석을 교조로 하고 구파는 증산을 교조로 한다.
상제교전 / 上帝敎典 [종교·철학/신종교]
상제교의 교리서. 1920년 최유현이 시천교총부에서 편집 간행하였다. 원래는 '시천교전'이었으나 나중에 '상제교전'이라고 제목을 바꾼 흔적이 있다. 그 이유는 시천교가 1925년에 상제교로 교명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천주장, 인생장, 시천장, 입교장, 도심장,
선도 / 仙道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14년 안내성(安乃成)이 전라남도 여수에서 창립하였다. 안내성은 1967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출생하였다. 1907년 강증산을 만나 그의 제제가 되었다. 1914년 차경석과 다투고 전라남도 여수에 선도를 창교하였다. 1927년 전주군 유림면
선도교 / 仙道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단 중의 하나. 증산교에서는 일반적으로 강일순의 부인이었던 고부인과 관련된 종단을 선도교라고 부른다. 증산교 최초의 교단이다. 고부인의 선도교는 태을교라고도 한다. 이후 같은 이름의 교단이 생겨 고부인의 태을교를 '원태을교'라고도 한다. 1914년 전라북도 정읍군
손천민 / 孫天民 [종교·철학/신종교]
미상∼1900년. 동학의 지도자. 충청도 청주 출신. 1883년(고종 20) 손병희 등과 최시형을 찾은 뒤 최시형과 같이 수도와 문답을 하며 동학을 포교하였다. 1896년 최시형은 손병희·김연국과 그에게 도호를 내려 세 사람이 합심하여 교를 이끌어가도록 하였다. 최시형
신종교 / 新宗敎 [종교·철학/신종교]
비교적 최근에 창립된 종교. 국내에서는 신종교와 비슷한 개념으로 신흥종교, 유사종교, 민족종교, 민중종교, 민족적 종교, 보국종교 등의 개념이 사용되며, 국외에서는 천년왕국운동, 메시아운동, 종교운동, 부흥운동 등 수십 개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신종교는 근래에 종교
오주 / 五呪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에서 쓰는 주문. 짤막한 주문 다섯 개를 하나로 묶은 것으로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오주이고, 또 하나는 오주를 수련하는 데 쓰이는 수련용의 오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