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고려가요어석연구 / 高麗歌謠語釋硏究 [언어/언어/문자]
박병채(朴炳采, 1925~1993)가 지은 고려가요 주석서. 1책, 양장본.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던 박병채가 다년간 고려가요에 대해 강의해 온 강의노트를 보충하고 정리하여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이후 1971년, 1974년 등에 선명문화사에서 재간행되었
고려고도징 / 高麗古都徵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학자 한재렴이 개성의 산천과 사적을 기록하여 1847년에 편찬한 지리서. 7권 3책. 인본(印本). 1847년에 간행되었는데, 1911년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발해고(渤海考)』·『북여요천(北輿要遷)』·『북새기략(北塞記略)』 등과 합본으로 간행한 일
고려국사 / 高麗國史 [역사/고려시대사]
조선전기 문신·학자 정도전·정총 등이 왕명을 받아 1395년에 편찬한 역사서. 총 37권의 편년체 사서이나 현존하지 않는다. 조선이 건국된 뒤 3개월만인 1392년(태조 1) 10월 조준(趙浚)·정도전·정총·박의중(朴宜中)·윤소종(尹紹宗) 등이 왕명을 받아 1395년에
고려국신조대장경교정별록 / 高麗國新雕大藏經校正別綠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수기가 고려대장경의 재조(再雕) 때 교정한 내용을 기록한 불교서.목록집. 30권. 고려대장경의 재조(再雕) 때 교감(校勘)을 맡았던 수기가 교정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송본(宋本)·국본(國本)·거란본(契丹本) 등의 대장경을 대교(對校)하고, 여러 대장경목록
고려국조신화 / 高麗國祖神話 [문학/구비문학]
고려를 세운 왕건(王建)의 선조 6대들의 내력과 자취를 다룬 고려의 건국신화. 왕건의 6대조 호경(虎景), 5대조 강충(康忠), 4대조 보육(寶育), 3대조 진의(辰義), 할아버지 작제건(作帝建), 아버지 용건(龍建)을 각기 주인공으로 삼은 여섯 가지 이야기로 이루어져
고려다완 / 高麗茶碗 [예술·체육/공예]
16∼17세기 서일본 지역에서 말차(抹茶)를 마시는 데 사용한 찻사발. 고려다완은 그릇모양에 변화가 있고 유약도 제각기 다르다. 예를 들면 다완의 밑부분이 상어피부처럼 오톨도톨한 것은 낮은 가마 온도 때문에 유약이 잘 녹지 않아 생긴 것인데, 그것을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고려대학교 / 高麗大學校 [교육/교육]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1905년 5월 5일 대한제국 내장원경(內藏院卿) 이용익(李容翊)이 한성 전동(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에 있던 전(前) 아어학교(俄語學校) 건물을 교사로 해서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로 설립하였다. 1934년
고려대학교본관 / 高麗大學校本館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에 있는 건물. 사적 제285호.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의 경영을 맡았던 김성수가 1933년 9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9월 준공을 본 본관건물로, 고딕양식으로 되어 있다. 현재는 학교의 행정사무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건축 당
고려도경 / 高麗圖經 [역사/고려시대사]
1123년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저술한 견문록. 전40권. 정식명칭은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인데, 흔히 줄여서 『고려도경』이라 부르고 있다.책의 명칭에서 보듯이, 1123년 휘종(徽宗)의 명을 받고 사절로 고려에 와서 견문한 고려
고려명신전 / 高麗名臣傳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남공철이 고려의 명신·도학자·충신·효자·열녀·일민(逸民)의 행적을 기록한 언행록.교훈서·인명록. 12권 6책. 고활자본. 1822년(순조 22) 남공철(南公轍)이 간행 경위를 적은 서문을 붙여 편찬하였다.권1에서 권11에 걸쳐 본전(本傳) 인물 200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