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금자기 / 金字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기의 하나. 붉은 바탕에 흑색으로 금(金) 자를 쓴 사각형의 깃발로 붉은색의 화염각과 기각이 달려 있다. 고자기 뒤에 따라간다.
금장도 / 金粧刀 [정치·법제]
금색을 칠한 칼 모양의 의장. 나무로 만들며 겉에 무늬를 새기고 금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임금이나 왕비, 세자의 행차 때 은장도 다음으로 행렬 좌우에 각각 2개씩 가지고 따랐다.
금절 / 金節 [정치·법제]
대한제국 시기 황제 의장에 사용된 기물. 금절은 황제 의장 가운데 하나로, 주홍칠을 한 나무 자루 위에 금으로 용 모양의 머리 장식을 씌우고 그 아래로 원반을 설치하여 상모 끈을 8층으로 늘어뜨리고 그 위에 용을 수놓은 황색 비단 자루를 씌운 것이다. 절은 상벌의 규
금정산성 / 金井山城 [예술·체육/건축]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산(金井山) 정상부에 있는 조선시대 석축 성곽.산성. 사적. 돌로 쌓은 산성으로, 낙동강 하구와 동래 일대가 내려다 보이는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난 뒤 국방을 튼튼히 하고 바다를 지킬 목적으로 다시 쌓았다. 성벽은 1
금정산성복설비 / 金井山城復設碑 [예술·체육/서예]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있는 조선후기 금정산성 개축 관련 기념비.시도기념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5호. 1808년(순조 8) 동래부사 오한원(吳翰源)이 훼손된 금정산성을 다시 축조하면서, 폐허화된 성곽을 다시 쌓고 성문을 재건하고, 산성의 모습을 새롭게 한 사실을 기념하
금정유고 / 錦汀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신경연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4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854년(철종 5) 후손 홍집(鴻集)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우(李㘾)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세균(金世均) 등의 발문이 있다. 성암고서박물관에 있다. 서문에
금주령 / 禁酒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큰 가뭄· 흉작·기근이 있을 경우 술 마시는 것을 금하는 법령. 근신 절제함으로써 하늘의 노여움을 풀고 굶주린 백성들을 위로하며 식량과 비용을 절약할 목적으로 행하여졌다. 1392년 조선개국 직후 흉작으로 인하여 금주령을 내린 것을 비롯하여 여러 대에 걸쳐
금주집 / 錦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허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1년에 간행한 시문집. 1941년 허채의 손자 허섭(許涉)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발문은 없다. 권1·2에 시 241수, 권3∼9에 서(書) 353편, 권10·11에 잡저 18편, 권12에 서(序
금주집 / 錦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고몽찬의 시·서(書)·설·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서문은 없고, 그의 아들 문겸(文謙)이 1892년(고종 29)에 쓴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권3에 서(書), 권4에
금척설화 [문학/구비문학]
미천한 인물이 꿈에 ‘금으로 된 자[金尺]’를 얻음으로써 영예로운 지위에 이르게 된다는 설화. 문헌과 구전 모두 자료가 풍부한데, 문헌설화는 이성계(李成桂)의 등극을 예시한 신화적 유형이고, 구전설화는 하층 농민의 영달을 그린 민담적 유형으로 전승된다. 문헌설화는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