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솔성요론 / 率性要論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 교서 <정전(正典)>에 실려 있는 16개 조항의 실천요강. 솔성요론은, 첫째 신이나 절대자의 명령에 의한 타율적 행위규범이 아니고 자율적 규범이라는 점, 둘째 특정 종교의 교리나 사상을 내포하지 않고 보편적인 인간양심에 호소하는 실행의 요청이라는 점, 셋째 내재

  • 송간집 / 松澗集 [종교·철학/유학]

    황응규의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1927. 문집 3권 중 2권이 시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시 253수, 권2에는 129수 등 모두 382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서문은 없다. 권3의 소는 2편으로, 단양군수로 재직 중일 때 올린 진폐소와 임진왜란 때 군량

  • 송고집 / 松皐集 [종교·철학/유학]

    송정흠의 시문집. 4권2책. 목판본. 아우 송계흠과 아들 송위익이 정리, 1923(임시정부 5)년에 간행하였다. 권일에는 46제68수의 시가 실려 있다. 권이에는 편지 32편과 잡저 6편, 잠 1편, 명 1편, 기 1편, 식 1편, 제문 12편. 부록 권일에는 정장 7

  • 송구영신가 / 送舊迎新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 및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되었으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1에 수록되어 있다. 권31을 송구영신가라고 했으나 그 안에서 다시 「송구영신가」와 「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의 두

  • 송규석특증문서 / 宋圭奭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8일 경무청 경무관을 지낸 고 송규석(宋圭奭)을 정3품 통정대부에 특증하는 임명장. 송규석은 1906년에 일어난 홍주 의병의 봉기사건으로 죽었다. 이 문서는 이러한 사건이 발생한지 4년여 후, 경술국치 6일 후에 발급된 증직임명장이다.

  • 송덕상시장 / 宋德相諡狀 [정치·법제]

    조선 중기의 문신 송덕상(宋德相)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08년(융희 2)에서 1910년 사이에 김윤식(金允植)이 지어서 봉상사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중추원의장 김윤식이 지었다. 작성 시기는 문면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1908년 10월 내지 1910년 8

  • 송덕상증시문서 / 宋德相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고이조판서 송덕상(宋德相)에게 '문간(文簡)'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박학다문왈문 정직무사왈간'이라 적어 문간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 송도성 / 宋道性 [종교·철학/원불교]

    1907년∼1946년. 원불교의 전무출신. 경상북도 성주 출생. 1920년에 형의 인도로 영광에서 소태산 박중빈을 처음 만나 도성이라는 법명을 받고 제자가 되어 1922년에 16세의 나이로 출가하여 전무출신이 되었다. 출가 후 총부 연구부서기·교무부장·영산지부장·영산교

  • 송도유원지 / 松島遊園地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에 자리한 종합유원지. 송도유원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관광지역으로서, 다양한 부대시설을 구비하여 인천을 대표하는 유원지로 개발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36년 송도유원주식회사가 설립된 후 1939년 일본군의 휴양지로 송도해수욕장이 개장하였다. 일제

  • 송병선 / 宋秉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순국지사(1836∼1905). 송시열의 9세손으로 1884년 의제변개가 단행되자 반대해 상소했다. 1905년 11월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청토흉적소를 올리고 상경해 을사조약 반대운동을 전개하려 했으나 납치되어 대전으로 호송되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