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이동순 순흥현감 해유문서 / 李同淳 順興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32년(순조 32) 1월 29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올린 첩정이다. 이동순(李同淳)은 퇴계의 후손으로 구천(龜天)의 아들이다. 1830년(순조 30) 7월 초3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월 11일에 사조(辭朝)한 후 동월 25일에 도임하였다. 실적 437일

  • 이동표 / 李東標 [정치·법제/법제·행정]

    1644(인조 22)∼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아버지는 운익(雲翼)이며, 어머니는 김기후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진사가 되고, 1677년 증광회시에 장원하였으나 파방되었다가 1683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 이동휘 / 李東輝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72∼1935). 구한국 무관학교 출신. 안창호와 함께 신민회, 서북학우회 등 활동. 군대해산령 후 육군참령으로서 의병을 도모하다 유배되었다. 1919년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 때 공산당으로 전향하여 소련에서 원조 받은 독립자금을 고려공

  • 이력서 / 履歷書 [정치·법제]

    1908년(융희 9) 3월 주전원에서 관장하는 양화실 원역의 현황을 정리한 문서. 청색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다. 제목은 이력서라고 기록되었으나 이력서라기보다는 현황을 정리한 명단 정도로 이해된다. 문서에 따르면 양화실 소속 원역으로는 간사 2인, 감관 4인, 고지기 4인

  • 이마 / 理馬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복시에 소속된 잡직. ≪경국대전≫에는 명문화되지 않은 것 같다. 그 뒤 조선 후기에 오면 ≪속대전≫에 정원이 4인이고, 품계는 정6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대전통편≫과 ≪대전회통≫에 의하면 품계와 구성원에 차이를 두고 6품이 1인, 8품이 2인, 9

  • 이명익 / 李溟翼 [정치·법제/법제·행정]

    1617(광해군 9)∼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증조는 충(沖)이고, 할아버지는 일도(逸道)이며, 아버지는 지형(之馨)이다. 1649년(인조 2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검열로 등용되고, 곧 설서가 되었다. 대표적

  • 이명직임명문서 / 李明稙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4월 28일. 종2품 가선대부 이명직을 궁내부특진관, 칙임관 3등으로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이재극(李載克)이 봉칙하였다. 궁내부특진관은 조선 말기 궁내부의 관리로 1895년(고종 32) 5월에 신설, 칙임관으로 보하였다. 이 문서에는 19

  • 이문 / 移文 [정치·법제/법제·행정]

    동등한 아문에 보내는 문서. 또는 문서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다만『경국대전』에 의하면 2품 이상 아문 만이 상고할 일에 관하여 직접 이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2품 아문에 준하는 아문(승정원·사간원·예문관·성균관 등)도 직접 이문할 수 있었던 것

  • 이문원 / 摛文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역대임금의 어진·선적·어필·어제·교명·전장문적 등을 보관하는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창덕궁 내에 설치되어 이 외에도 금보·옥인·옥책·죽책 등도 관리하였다. 정조가 즉위하자 창덕궁의 금호문 안 북원에 새로이 건물을 짓고 설치한 규장각에서 이를 관할하게 하였는데

  • 이문형시장 / 李文聲諡狀 [정치·법제]

    조선 전기의 문신 이문형(李文馨)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800년대 말 고종 대에 허전(許傳)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에는 작성인과 작성 시기가 나타나 있지 않으나, 성재 허전의 문집인《성재집》에 실려 있어 작성연대와 작성인을 파악할 수 있다.

페이지 / 28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