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고등소학수신서 / 高等小學修身書 [교육/교육]
1907년 휘문의숙 편집부에서 중등학교 고학년의 수신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중등학교 고학년용 수신서. 1907년 휘문의숙 편집부(徽文義塾編輯部)에서 편찬하고, 휘문관(徽文舘)에서 발행한 중등학교 고학년 수준의 수신교과서이다. 같은 곳에서 1906년에 발행된 『중
고등여학교 / 高等女學校 [교육/교육]
1908년에 공포된 '고등여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여성중등교육기관. '고등여학교령'에 의하여 1908년 최초의 관립 여자교육기관으로 한성고등여학교가 설립되었다. 1910년 이후 일제의 식민지통치가 본격화되자, 여성교육에서도 대폭적인 개정작업이 추진되었다. 1911년 8
고등재판소 / 高等裁判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상소재판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법원. 1895년 3월부터 1899년 5월까지 존재하였다. 1895년 3월 25일 '재판소구성법'에 의하여 이른바 근대적인 재판소제도가 도입되어 형식상 사법권이 행정권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설치되었다. 1896년 8월부터
고등학교 / 高等學校 [교육/교육]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9년간의 국민 기초교육을 바탕으로 실시되는 후기 중등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 1899년에 「중학교관제」가 공포되어 중학교의 수업연한을 7년으로 정하고, 심상과 4년, 고등과 3년 과정을 두기로 하였으나 실제로 고등과를 설치한 학교는 없었다. 1
고란초 / 皐蘭草 [과학/식물]
고란초과에 속하는 상록다년초. 학명은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이다.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백마강 가의 고란사 뒤의 절벽에서 자라기 때문에 고란초라는 이름이 생겼다. 절벽 밑에서 솟아나는 물을 고란정(皐蘭井)이라고 한다. 고
고랑포 / 高浪浦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에 있었던 나루터. 고랑포가 있는 임진강 중하류 지역의 강가 곳곳에는 절벽이 많고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한데, 고려태조가 놀던 곳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며, 민간에는 아직도 그 가곡이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이색(李穡)은 “장단(長湍)의 석벽은
고래 뱃 속에서의 도박 / ─賭博 [문학/구비문학]
고래에게 삼켜진 사람들이 그 속에서 도박을 하다가 살아나게 된 경위를 다룬 설화. 과장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의 하나이다. 손진태(孫晉泰)의 『조선민담집(朝鮮民譚集)』(1930)에 채록, 보고된 것이 있다. 어떤 사람이 바다에서 고기를 잡다가 고래에게 삼켜져 고래 뱃속으
고래실봉답윷놀이 [생활/민속]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계원리에 전승되는 윷놀이. 고래실과 봉답으로 편을 갈라 놀면서 풍년을 점치는 놀이이다. 고래실은 기름진 논이고 봉답은 척박한 논으로, 봉답 쪽이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하고 고래실 쪽이 이기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윷놀이는 삼국시대까지 거슬
고랭지농업 / 高冷地農業 [경제·산업/산업]
고원이나 산지 등 여름철에도 서늘한 땅에서 이루어지는 농업.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도 산간지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대관령에는 고령지시험장(高嶺地試驗場)이 있어서 고랭지농업에 관한 시험연구를 실시하고 있는데, 주로 원예연구담당관실에서는 감자, 특히 씨감자
고려가요 / 高麗歌謠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창작된 가요의 총칭. 협의의 개념으로는 고려시대의 장르적 특수성을 갖는 특정 가요군을 가리킨다. ‘고려시대의 가요’라는 광의의 의미는 향가계, 민요, 참요, 무가 및 불교가요, 개인 창작가요, 고려말 시조와 가사작품까지 포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