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능원천봉도감의궤 / 陵園遷奉都監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능과 원의 천장에 관한 의식과 절차 등을 기록한 의궤. 이 의궤는 크게 『천봉도감의궤(遷奉都監儀軌)』와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로 구분되는데 모두 22종이 있다. 천장한 연대순으로 본 능·원의 명칭과 능·원별 의궤의 수는 선조목릉(宣祖穆陵) 2종, 원종
능작헌례급기진제진설도 친제동 / 陵酌獻禮及忌辰祭陳設圖 親祭同 [정치·법제]
각 왕릉에서 작헌례나 기신제를 거행할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이왕직에서 정리하여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능주지 / 綾州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도 능주목(현 화순군 능주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책(45장).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관직·산천·영애(嶺隘)·강계(疆界)·성씨(姓氏)·풍속·단묘(壇廟)·공해(公廨)·
능천문집 / 綾泉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여대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처음 최흥벽(崔興璧)에 의하여 편집되었고, 그 뒤 박종서(朴宗恕)에 의해 증보, 개편되었으며, 100여년 뒤인 1893년 5대손 태섭(太燮)과 천섭(天燮) 등이 간행하였다.
능청명제진설도 조경단동 / 陵淸明祭陳設圖 肇慶壇同 [정치·법제]
24절기 중 하나인 청명일에 각 왕릉에 제사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기존에 있던 이왕직에서 정리하여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능침전급정자각상량제진설도 공급귀인묘소사후사제동 / 陵寢殿及丁字閣上樑祭陳設圖 公及貴人墓所祠后士祭同 [정치·법제]
왕릉 앞에 침전이나 정자각을 조성하고 상량제를 지낼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공과 귀인의 묘를 조성하기 전에 올리는 사후토제(祠后士祭)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사후토제는 묘의 광중을 파기 전에 토지신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능허관만고 / 凌虛關漫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 이선의 시·사·수서·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서·발이 없어 간년은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사(辭)·부(賦)·시, 권2∼4에 소(疏)·비판(批判), 권5에 수서(手書)·
능허집 / 凌虛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박민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저자의 증손 태무가 편집하여 1799년(정조 23)에 간행한 듯하다. 권두에 정범조의 서문과 권말에 태무·조술도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88수, 부 6수, 서 68편, 잡저 17편, 권3·4는 부록으로 세계
능호집 / 凌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이인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활자본. 1779년(정조 3) 아들 영장(英章)이 유문을 정리하여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김종수(金鍾秀)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능호집 / 菱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강상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5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865년 아들 이신(頤辛)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신석희(申錫禧)의 서문과 권말에 김기수(金綺秀)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