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소호당집 / 韶濩堂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시인·문장가 김택영(金澤榮)의 시문집. 『소호당집』은 창작연대순으로 분류하여 싣고 있다. 권1에는 1862년(철종 13)에서부터 1878년(고종 15) 사이에 지은 시 241수, 권2에는 1879년에서 1887년 사이에 지은 195수, 권3에는 1889년에

  • 속담대사전 [문학/구비문학]

    방종현(方鍾鉉)·김사엽(金思燁)이 펴낸 속담집. 우리나라 최초의 사전체재를 갖춘 속담집이다. 1940년 조광사(朝光社)에서 간행하였다. 수록 속담수는 총 4,000여수이며 그 중 우리말 속담은 3,000여 수에 달한다. 체재는 속담을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매수(每首)

  • 속무정보감 / 續武定寶鑑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홍언필(洪彦弼) 등 수명편, 조선사편수회편, 영인본, 조선총독부, 1937, 5권 2책. 조선 성종대부터 중종대까지의 내란과 역모, 대외분쟁 들을 처리한 전말을 기로한 책이다.《조선사사료총서(朝鮮史史料叢刊) 第16》으로 영인한 책이다.

  • 손기정 / 孫基禎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체육회 부회장, 육상경기연맹 회장 등을 역임한 체육인. 손기정은 평안북도 신의주 출생으로 어렸을 때부터 달리기에 뛰어난 소질이 있었으며, 소학교 6학년 때 신의주와 만주 안동현 사이를 달리는 안의육상경기대회(安義陸上競技大會)에 출전하여 청장년을 누르고 5

  • 손문 / 孫文 [정치·법제/정치]

    1866-1925 중국의 혁명가. 광동성 출신. 홍콩에서 의학교 졸업, 재학중에 혁명에 뜻을 품고 1894년 하와이에서 흥중회를 조직, 이듬해 광주에서 최초로 거병했으나 실패. 그후 일본과 유럽 등지에서 망명 삼민주의를 착상 이를 제창했다. 1911년 신해혁명을 성공시

  • 손병희 / 孫秉熙 [종교·철학/천도교]

    항일기의 동학인·독립운동가·교육사업가(1861-1922). 호는 소소거사(笑笑居士)·의암(義菴). 1894년 동학 북접통령이 되어 논산으로 나아가 전봉준과 합세하였다. 그러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하여, 함경도와 평안도 지방으로 피신하였다. 1897년 12월 제3세 교

  • 손병희선생유허지 / 孫秉熙先生遺墟地 [역사/근대사]

    충북 청원군 북이면 금암리에 있는 동학의 3대 교주이자 천도교의 창시자인 손병희의 생가관련 유적. 충청북도 기념물 제30호. 1961년에 탄생 100주년을 맞아 충북문화재보존회에서 생가 부근 야산에 유허비를 세우고 주위에 보호시설을 둘렀다. 묘소는 서울시 강북구 수유

  • 손양원 / 孫良源 [종교·철학/개신교]

    1902-1950년. 장로교 목사. 호는 산돌. 경상남도 함안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가 장로인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성장하였다. 1915년 칠원보통학교 재학중 궁성요배를 거절하여 퇴학을 당했으나, 선교사 맥레이(Macrae, L.)의 항의로 복교되었다. 3·1운동에

  • 손진태 / 孫晋泰 [교육/교육]

    1900년∼미상. 민속학자·국사학자. 1927년 일본 와세다대학 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였다. 1932년 송석하·정인섭과 더불어 조선민속학회를 창설, 1933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민속학회지인 《조선민속》을 창간하여 제2호(1934)와 제3호(1940)를 발간하였다. 1

  • 손탁호텔 / 孫澤hotel [생활/주생활]

    지금의 서울 중구 정동에 있던 우리 나라 최초의 서구식 호텔. 손탁(Sontag,A)은 1885년 내한하여 25년간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한러밀약’을 추진하는 등 친러거청정책을 수립, 반청운동을 통해 조선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그녀의 독립운동 공로가 인정되어 조선정부는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