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신승선 / 愼承善 [종교·철학/유학]
1436(세종 18)∼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인도 증손, 할아버지는 이충, 아버지는 전이다. 어머니는 안강의 딸이다. 연산군의 장인이다. 1454년(단종 2) 사마시에 급제하고 돈녕부승, 정랑 등을 거쳐 병조참판, 예문관제학, 공조참판, 병조참판,
신식 / 申湜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신숙주의 5대손, 광윤 증손, 할아버지는 서, 아버지는 중엄, 어머니는 유엄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76년(선조 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충청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강원도관차사 등을 역임
신심 / 申鐔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대사성 민일 증손, 할아버지는 부사 상, 아버지는 명규, 어머니는 남호학의 딸이다. 1704년(숙종 30) 춘당대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사서·지평·정언을 거쳐 도당의 홍문록에 올랐으며 지제교로서 우윤 김
신야집 / 新野集 [종교·철학/유학]
이인행의 문집. 목판본. 14권 7책. 권1~2는 시를 수록, 권3에는 서연강의를 수록, 권3~4에 채제공, 류범휴, 류낙휴, 김희락, 김희주, 정약용 등과 주고받은 편지를 수록하였다. 권5는 잡저‧서, 권6은 기‧식‧발‧잠‧명‧상량문‧애사, 권7에는 축문‧제문,
신우상 / 申禹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 1771년(영조 47)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797년 사헌부집의로 재직하면서 과거시험의 엄정을 기할 것을 주장하여 채택되었다.
신위 / 申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화가·서예가(1769∼1845). 1812년 중국에 가서 여러 학자들을 만나 견문을 넓혔다. 시·서·화 3절로 칭해졌다. 문학 작품으로 〈동인논시절구〉·〈소악부〉와 그림에 〈방대도〉·〈묵죽도〉 등이 있다. 저서로 《경수당전고》·《자하시집》이 있다.
신유한 / 申維翰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증조가 구년, 아버지는 태래, 어머니는 김석현의 딸이다. 태시에게 입양되었다. 1705년(숙종 31) 진사시에 합격하고,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9년 제술관으로서 통신사 홍치중을 따라 일본에 다
신응시 / 辛應時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585(선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 석 증손, 할아버지는 윤형, 아버지는 보상, 어머니는 민거의 딸이다. 백인걸의 문하에서 배웠다. 155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연안부사, 예조참의, 병조참지 등을 역임하였다.
신응조 / 申應朝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4∼1899). 홍직필의 문인이다. 1852년 문과에 급제해 이조참판·대사헌·강원도관찰사·형조판서·이조판서·예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서양세력을 배척하고 수교 및 통상을 제한하려는 척사론을 정책적 측면에서 주장했다. 연로하여 퇴임한 뒤에는 기로소에
신의명 / 申義命 [종교·철학/유학]
1654년(효종 5)∼1716년(숙종 42). 조선 후기 유학자·문신. 부친 신양세와 모친 김직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684년(숙종 10) 문과에 급제, 가주서·전적·예조좌랑·직강·강령현감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김간·이동표·권두경 등의 문인들과는 도의로써 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