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고두만 / 高斗萬 [종교·철학/신종교]
1881-1967.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인·항일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제주도 안덕면(安德面) 상창리(上倉里) 497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익혔다. 한때 민족종교인 보천교(普天敎)에 입교하였었으며, 1936년에는 무극대도교(無極大道敎)의 신도로서
고두환 / 高斗煥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94-1932). 만주의 대한독립단에서 활약했다. 무장독립대인 구월산대를 조직, 황해도에서 친일파 군참사 고학륜 암살 실패 후 신천군에서 일본경찰과 교전 중 체포, 12년 간 투옥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고득수 / 高得秀 [역사/근대사]
미상-1920. 본관은 제주. 3·1 운동 후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독립단(獨立團)에 가입하여 경호부장(警護部長)이 되었다. 1920년 광복군사령부(光復軍司令部) 제2영(營) 제1소대장(小隊長)이 되어 입국, 의주군 비현면 조시목(趙時穆)의 집을 근거지로 거사하다가
고들빼기 / Youngia sonchifolia MAX [과학/식물]
국화과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Youngia sonchifolia MAX.이다. ≪동의보감≫·≪제물보≫·≪물명고≫·≪명물기략≫에서는 ‘고채(苦菜)’라 하였다. ≪명물기략≫에는 “고채는 고도(苦荼)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고독바기가 되었다. 고들빼기의 대궁을 자
고등교육 / 高等敎育 [교육/교육]
초등·중등 교육에 이어지는 가장 높은 단계의 교육. 제3단계 교육 또는 중등 후 교육(中等後敎育)이라고도 한다.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의 정의에 의하면 고등교육의 공통된 성격은 ① 중등교육을 수료하고 대개의 경우 어떤 형태의 선발시험을 거쳐 진학하는 18
고등국어문법 [언어/언어/문자]
이숭녕(李崇寧, 1908∼1994)이 고등학교용 교재로 쓰기 위해 지은 문법 교과서. 1책, 국판 반양장. 학교 문법이 통일되어 있지 못한 상황에서 당시의 새로운 연구 흐름을 반영한 교과서가 필요하며 앞으로 이러한 교과서가 통일 문법으로 자리잡아 가야 함을 천명하기 위
고등기술학교 / 高等技術學校 [교육/교육]
정규학교에 다닐 수 없는 사람들을 주요대상으로 하여 직업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는 고등학교 수준의 교육기관. 1949년 12월 31일 공포된 <교육법>에 따라 처음 실시되었다. 정규과정의 고등학교와 병행하여 기술·실업 계열의 인력 양성과 확보를 목표로 하는 완성
고등보통학교 / 高等普通學校 [교육/교육]
1911년 8월에 공포된 '조선교육령'에 의하여 설치된 중등교육기관. 한말의 중학교를 이름을 바꿔 설치한 교육기관이다. 근대적 중학교의 설치는 1899년 4월에 공포된 '중학교관제'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1906년 일제의 통감부 설치에 따라, '공립학교관제'가 실시되
고등소학대한지지 / 高等小學大韓地誌 [지리/인문지리]
1908년 대동서관에서 아이들의 지리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지리교과서. 겉표지에는 ‘大韓地志敎科書(대한지지교과서)’로 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편집대의(編輯大意) 3면, 목차 9면, 본문 69면으로 되어 있다. 제1장은 세계대세(世界大勢), 제2장은 본국대세를
고등소학독본 / 高等小學讀本 [교육/교육]
1906년 휘문의숙 편집부에서 중등학교의 국어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2권 2책. 양지 한장본. 휘문관(徽文館)에서 발행하였다. 1권은 1906년 11월, 2권은 1907년 1월 각각 발간되었으며, 1908년 4월에 재판되었다. 본문은 1권이 76면 45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