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소례복 / 小禮服 [생활/의생활]
국가의 작은 의식 때 입던 예복. 조선시대에는 오례(五禮 : 가례·길례·빈례·군례·흉례)에 따라 제복(祭服)·조복(朝服)·공복(公服)·상복(常服)·시복(時服)을 착용하였다. 1895년 8월 10일에 대례복·소례복·상복을 제정, 반포한 뒤에는 대례·소례에 따라 대례복·소
소모관 / 召募官 [역사/근대사]
구한말 병란이 발발했을 때 그 지역의 향병을 모집하기 위하여 국왕이 임시로 임명하던 관리. 소모관은 향병 소모 외에도 적 진영의 탐지, 적의 귀순권유, 나아가서는 전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특히, 한말 의병전쟁 때에는 각 의병진에서 군사를 증모하기 위하여 유망한 인물들
소설 / 小說 [문학/현대문학]
문학의 한 양식. 사실이나 작가의 상상력에 바탕을 두어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민 산문체의 문학 양식이다.
소수서원등록 / 紹修書院謄錄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조선사편수회 편, 영인본, 신연활자본, 조선총독부, 1937, 불분권 1책(목차 2장, 원본영인본 23장, 신연활자본 17장, 해설 7장, 합 42장). 1547년 백운동서원입의(白雲洞書院立議)부터 1669년까지의 잡물분정행이문서(雜物分
소에지마 다네오미 / 副島種臣 [정치·법제/외교]
1828-1905. 일본 정치가. 일본 외무경. 정한론자. 1871년 10월 이와쿠라 사절단의 결정에 의해서 외무경으로 취임하였다. 1873년 청일수호조약 비준교환을 위해서 북경으로 갔다. 1874년 아타가키 다이스케, 고토 쇼지로 등과 함께 '민선의원건립건백서'를 발
소천소지 / 笑天笑地 [문학/구비문학]
1918년 신문관에서 발행한 소담집(笑譚集). 이 책은 1912년 신문관에서 발간한 『개권희희(開卷嬉嬉)·절도백화(絶倒百話)』 합집에 수록된 소담 총 200편을 순서를 달리하여 재수록하고 그 밖에 20여 편의 소담을 추가한 것이다. 이 책에는 내용 목록이 따로 없으며,
소춘대유희 / 笑春臺遊戱 [예술·체육/무용]
최초의 서양식 극장인 협률사에 처음 올린 공연. 소춘대유희의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없다. 다만 소춘대유희가 공연된 협률사(協律社)는 원래 고종의 칭경예식을 위해 기생, 재인, 광대 등을 모아 연습시켰었는데, 칭경예식이 취소되면서 일반을 대상으로 소춘대유희를
소파여사시집 / 小坡女士詩集 [문학/한문학]
개화기의 여류시인 오효원(吳孝媛)의 시집. 양장본 1책. 활자본. 본문은 상·중·하 3편으로 분할 편집하였는데, 그 작품내용은 오언절구 79수, 칠언절구 196수, 오언·칠언고시 8수, 오언율시 33수, 칠언율시 118수, 그리고 소체(騷體)라 하여 사(辭) 1편과 가
소포 / 小砲 [과학기술/과학기술]
1874년에 제조된 청동제 유통식 화포. 총길이 108.5㎝, 포열 길이 95.2㎝, 병부 길이 13.3㎝, 포구 지름 8.4㎝이다. 포구에서 약실을 지나 포미에 이르기까지 점차 그 부피를 두껍게 처리, 포신에는 포구의 구연대를 제외하고 죽절 3조를 시조하였다. 이 포
소헌집 / 素軒集 [종교·철학/유학]
권인하의 문집. 6권3책. 목판본. 권1에는 시가 98편, 권2에는 편지가 51통, 권3은 잡저로 통문과 남초설 등이 6편, 서문이 7편, 기가 5편, 잠 1편, 찬 1편, 상량문 2편, 축문 8편, 뇌사 8편, 권4는 제문 21편, 전 4편, 행장 2편, 권5는 행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