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유치구 / 柳致球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소은집』,「천군실록」 등을 저술한 문인. 아버지는 유상문(柳相文)이며 큰아버지인 유두문(柳斗文)에게 입양됐다. 어머니는 한양 조씨(漢陽趙氏)이다. 작은아버지인 유낙문(柳洛文)에게 수학했다. 고문(古文)의 형식으로 글을 쓸 때는 거칠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문장은
유치명 / 柳致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77∼1861). 벼슬은 사헌부지평·세자시강원문학·한성좌윤·병조참판 등을 지냈다. 1855년 장헌세자의 추존을 상소하여 유배되었다. 1856년 가의대부에 올랐으나 사직하고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정재문집》·《예의총화》 등이 있다
유치목 / 柳致睦 [종교·철학/유학]
1771년(영조 47)∼1836년(헌종 2).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유정춘, 부친은 유헌조이다. 외조부는 황재대, 처부는 강종흠이다. 1814년(순조 14) 식년시에 병과 26위로 급제뒤, 병조좌랑·사서·교리·형조참의·사간원 사간·김해부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유치선 / 兪致善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3∼?). 부사과·대사성·부총관 등을 거쳐 1867년 경기도관찰사로 있을 때 《기계유씨세보》를 중간하고, 1874년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참의·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유치호 / 柳致皜 [종교·철학/유학]
1800년(정조 24)∼1862년(철종 13). 조선 후기 학자. 조부는 유정휴, 부친은 유후문이다. 모친은 의성김씨이다.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45년(헌종 11) 학문과 덕행으로 천거되어 태릉참봉이 되었으나 바로 사직하였다. 저서로는《태극혹문》은 주돈이
유태좌 / 柳台佐 [종교·철학/유학]
1763(영조 39)∼1837(헌종 3).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사춘, 어머니는 이억지의 딸이다. 1794년(정조 1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정원가주서가 되고 주자서 3책을 하사받았다. 이후 우승지,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학서문집> 20
유태형 / 柳泰亨 [종교·철학/유학]
1568∼1642. 조선 중기 문신. 부친은 유덕신이다. 유태형은 김장생의 문인이다. 인조 조에 학행으로 참봉에 제수되어, 한성부참군, 별제좌랑을 지냈으며, 관계는 통훈대부에 이르렀다. 아들로는 유도, 유상, 유합을 두었다. 우암 송시열의 6세손인 강재 송치규가 그의
유필영 / 柳必永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학자(1841∼1924). 가학인 역학을 계승, 발전시켰고, 스승 유치명의《정재집》원집과 속집을 편집하였다. 1919년 파리만국평화회의때 유림들과 독립청원서를 보내어 항일 의지를 확고히 밝혔고, 기미년만세사건에 연루되기도 하였다. 저서로《서파문집》이 있다.
유한소 / 兪漢蕭 [역사/조선시대사]
1718년(숙종 44)∼1769년(영조 45).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여인(汝人), 본관은 기계(杞溪)이다. 1740년(영조 16)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시강원설서‧사헌부지평 등을 지냈다. 1749년(영조 25) 승지로 있을 때 사도세자의 일을 보고하지 않
유한준 / 兪漢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장가·서화가(1732∼1811). 영조 때 김포군수와 형조참의를 지냈다. 당대에 뛰어난 문장가로 손꼽혔으며 저서로 《저암집》이 있다. 그림에 대한 재능이 있었다고 하며 당시 화가들의 그림에 제발문을 많이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