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금성 / 錦城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나주 지역의 옛 지명. 940년(태조 23) 나주(羅州)로 고치고, 983년(성종 2) 나주목(羅州牧)으로 격상시켜, 전국 12목 중 하나가 되었다. 995년 절도사(節度使)를 두고 진해군(鎭海軍)이라 하고 해양도(海陽道)에 예속시켰다. 1010년(현종 1)

  • 금성 / 金城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김화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초기에 금성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018년(현종 9) 군으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현으로 강등되어 교주(交州)에 속하였다. 1106년(예종 1) 감무를 두어 현으로 승격시켰으나, 1254년(고종 44) 강등하여 도령(道寧)이라 불렸다.

  • 금성결 / 禽星訣 [종교·철학/도교]

    금성의 변화로 인간의 길흉을 점치는 방법을 기록한 기문둔갑서. 점술서. 금성은 천금(天禽)·연금(年禽)·월금(月禽)·시금(時禽)으로 나누어지며, 나와 상대방의 생극·비화(比和) 등의 관계를 대조하여 길흉과 성패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금성은 천금을 위주로 하며, 천금은

  • 금성대군 / 錦城大君 [종교·철학/유학]

    1426(세종 8)∼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왕자.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1433년(세종 15) 금성대군에 봉해지고, 1437년 참찬 최사강의 딸과 혼인, 그 해 태조의 일곱 째 아들인 이방번의 후사로 출계하였다. 단종 복위를 계획하였

  • 금성별곡 / 錦城別曲 [문학/고전시가]

    1480년(성종 11)박성건(朴成乾)이 지은 경기체가.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함양박씨세보(咸陽朴氏世譜)』에 실려 있다. 총 6장으로, 작자가 금성(錦城 : 지금의 羅州)의 교수로 있으면서 가르친 제자 10인이 소과에 급제하자 그 감격을 자랑한 내용이다. 형

  • 금송계좌목 / 禁松契座目 [경제·산업/산업]

    1838년(헌종 4)으로 추정되는 무술년(戊戌年)에 엮은 금송계에 관한 좌목. 16장 1책. 소고니면 가좌동(所古尼面可左洞:지금의 경기도 이천군 大月面 可左里)의 마을 사람들이 금송계를 조직하고 그 결성 동기·내규(內規) 등을 엮은 좌목이다. 이 책은 계원인 최병옥(崔

  • 금송아지전 / 金─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활자본. 이본으로는 필사본 「금우태자전(金牛太子傳)」·「금독전(金犢傳)」·「금우전(金牛傳)」·「오색우전(五色牛傳)」, 그리고 활자본 「나한적강 금송아지전」 등이 현전한다. 이 작품은 석가여래가 될 금우태자의 변신과 덕행을

  • 금쇄동집고 / 金鎖洞集古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 때 윤선도(尹善道)가 자신이 지은 시조와 한시를 모아 친필로 엮은 가첩(歌牒). 단권. 국한문필사본. 이 가첩에는 <증반금 贈伴琴>·<추야조 秋夜操>·<춘효음 春曉吟> 등 시조 3수와 기타 한시(집고시)를 수록하고 있다. 시조의 경우 작품의 제작연대가 밝혀져

  • 금수총화 / 錦繡叢花 [역사/조선시대사]

    사물의 근원·연혁·일화 등을 모아 엮은 유서(類書). 6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서 편자와 필사 연도는 알 수 없다. 1책에 천도문(天道門)·지도문(地道門)·재상문(災祥門)·군도문(君道門) 상, 2책에 군도문 하, 3책에 인품문(人品門)·인륜문(人倫門)·인사문

  • 금시당연행일기 / 今是堂燕行日記 [언론·출판]

    저자 임의백(1605-1667). 필사본. <금시당연행일기>는 건곤 2책의 필사본인데, 연민문고에는 건책만이 영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표제는 '금시당연행록 건'이다. 연행 사절은 정사, 부사, 서장관의 삼사로부터 역관, 서기 등 중인 실무 담당자, 마부, 하인, 상인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