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세계만국연계 / 世界萬國年契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사표류(史表類) 학부편집국(學部編輯局) 편, 신연활자본, 불분권 1책(142장). 표제는 세계연계(世界年契)이다. 고대부터 1893년까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서양에서 일어난 중요한 일을 기록한 연표, 선장, 지질(양지) 등이다.

  • 세관감시서 / 稅關監視署 [역사/근대사]

    구한말 밀무역을 감시 및 취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세관행정관서. 두만강 및 압록강 연안과 남해안 및 동해안 등에서 러시아, 청, 일본 상인 사이의 밀무역이 성행하였다. 이에 정부가 중요한 지점에 세관감시서를 설치 세관사를 파견하였다. 1906년 일본으로부터 광제호 등

  • 세광 / 世光 [언론·출판/언론·방송]

    1920년 1월 15일에 창간되어 국한문혼용 1단으로 종서 편집된 잡지. 남감리교회 소속 내한 선교사인 도마련(都瑪蓮; M. B. Stokes)이 1918년부터 1922년까지 춘천 주재 지방선교 사업으로 파송받아 문서선교 사업을 위해 잡지사를 차리고 첫 호를 펴낸 것

  • 셋방 / ─房 [사회/사회구조]

    세를 내고 빌려 쓰는 방. 주택 공급이 부족하거나 주택을 마련할 능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한 주택의 일부를 빌려 쓰는 제도이다. 통상 총 가구 수보다 총 주택 수가 크게 부족한 도시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빈 땅이 많고 주택건축이 용이한 농촌의 현상은 아니다. 현재는 주

  • 션영문법 / 鮮英文法 [언어/언어/문자]

    1914년 언더우드가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보완해 간행한 책. 1914년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가 조선어와 영어를 비교 검토하여 1890년 저술한 『한영문법(韓英文法)』에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보완해 일본의 출판사(Kelly & Wals

  • 셩모셩월 / 聖母聖月 [언어/언어/문자]

    5월 성모성월과 관련된 각종 자료를 모은 문헌집. 신식활자본. 번역본. 세로쓰기 한글 전용문. 5월 성모성월에 대한 설명과 32일 동안의 묵상 자료와 날짜마다 해야 할 기도, 행해야 할 덕목, 성인의 사적 등의 자료를 모은 문헌집이다. 『셩모셩월』은 표지, 속표지,

  • 소경자탄가 [문학/고전시가]

    1931년박제원(朴齊元)이 지은 천주가사. 총 156구로 4·4조의 연속체이다. 당시 박제원은 이미 소경이 되어 있었고, 병을 앓고 있어서 필기를 할 수 없었다. 벽에 기대어 구술한 것을 제자 김익배와 강한태가 받아썼다. 붓글씨로 쓴 필사본과 화산 천주교회에서 195

  • 소극장운동 / 小劇場運動 [예술·체육/연극]

    소극장을 중심으로 반기성(反旣成), 반상업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연극운동. 우리나라에서 이 운동은 1931년에 서울에서 조직된 극예술연구회(劇藝術硏究會)의 신극운동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일어났다. 1960년대 중반까지는 이 연극운동이 간헐적이었다. 그러다가 1969년에

  • 소네 아라스케 / 曾禰荒助 [정치·법제/외교]

    1849-1910. 근대 일본의 관료. 외교관. 정치가. 1872년 프랑스에 유학. 1877년 귀국해 육군성에 출사. 1881년 문관으로 전환해 태정관 소서기관, 참사원 의관보, 법제국 참사관, 내각 기록국장, 내각 관보국장 등 역임. 1890년 국회가 개설 초대 중의

  • 소년한반도 / 少年韓半島 [문학/현대문학]

    1906년에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소년잡지. 1906년 11월에 창간되어 1907년 4월까지 통권 6호가 발행되었다. 주요기사로는 이해조의 소설 「잠상태」를 연재하고, 이인직의 「사회학」, 원영의의 「교육신론」, 정교의 「국제공법」, 조중응의 「농업대지」, 유길준의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