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성산명경 / 聖山明鏡 [종교·철학]

    비교종교론서. 유교, 불교, 선교 등 동양종교와 기독교를 선교적 관심에서 비교한 책이다. 저자는 최병헌이다. 1907년부터 <성산유람기>라는 제목으로 <신학월보>에 연재되었던 것을 1912년 조선예수교서회에서 다시 발행하였다. 서술형식은 문학적 형식을 취하고 있다. 네

  • 성서조선 / 聖書朝鮮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잡지. 1927년 7월에 창간, 무교회주의를 표방하였다. 창간 당시 발행인은 유석동, 편집인은 정상훈이었다. 그 밖에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양인성 등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민족위기를 성서연구를 통해 극복할 것을 주장하였다. 기성교회를 비판하는 글들을 발표하였

  • 성암유고 / 惺庵遺稿 [종교·철학/유학]

    박종후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성암유고>는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구체적인 간행상황을 알 수 없다. 권1에는 시 176수, 권2에는 편지글 19편‧서 3편‧기 4편‧발 6편‧잡저 3편이 실려져 있다. 권3에 잠 3편‧명 4편‧상량문 4편‧제문 7편, 권4에는 행

  • 성원록 / 姓源錄 [사회/가족]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이창현이 역관·의관·산관 등 중인계층의 성씨를 수록한 족보. 10권 1책. 양반층을 주로 수록한 다른 성씨 계보책과는 달리 역관(譯官)·의관(醫官)·산관(算官)·율관(律官)·음양관(陰陽官)·서자관(書字官)·화공(畫工) 등 중인계층의 계

  • 성이호시장 / 成彛鎬諡狀 [정치·법제]

    조선 말기의 문신 성이호(成彛鎬)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03년(광무 7) 조병필(趙秉弼)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1903년 3월에 장례원경, 혼문관학사 조병필이 지은 것인데, 말미에 '이를 조흘하고 봉상사에 회부한다'는 취지의 제사와 '광무

  • 성주민란 / 星州民亂 [역사/근대사]

    1862년 3월 26일과 4월 12일 두 차례에 걸쳐 경상도 성주에서 일어난 농민운동. 농민군은 1차봉기 때는 수만 명이 읍내에 난입하여 관리의 가옥을 파괴한 것이 32호, 재산을 분탕한 것이 30여 호에 이르렀으며, 2차봉기 때는 읍외의 명암장터에 모여 지탄받던 민가

  • 성진무 / 性眞舞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경성의 기생이 추었던 춤. 성진무(性眞舞)의 구체적인 내용과 구성에 대한 사료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다만 1912년 단성사 강선루 공연에서 성진무를 롱선이 혼자 추었고, 1917년 11월 한남권번 연주회의 광고 중에 성진무를 개량하여 구운몽연의(九雲夢演義

  • 성진항 / 城津港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성진시에 있는 항구. 본래 쌍포동의 어촌이었는데 청일전쟁 이후 1899년 5월에 개항되었다. 원산과 블라디보스토크간의 기항지로서 요지일 뿐만 아니라 북한의 문호로서 일본은 물론, 러시아 역시 개항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깨닫고 있었다. 1899년 무역의 수출액은

  • 성헌징특증문서 / 成獻徵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지평 고 성헌징(成獻徵)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순종실록》의 기사에는 성헌징이 영남의 사표가 되었으니 정2품 규장각제학에 추증하라는 순종의 명이 있었다는 내용이 있다.

  • 성흥광산 / 成興鑛山 [경제·산업/산업]

    평안남도 성천군 숭인면 창인리에 있는 금 광산.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으로 흘러드는 귀인천(歸仁川)의 중류에 회창이라는 큰 취락이 있는데, 이 곳에서 동쪽으로 2㎞ 가량 계곡을 따라가면 해집동의 남쪽 하안에 있다. 북쪽의 689m, 남쪽의 652m 산 사이의 급경사를 이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