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설교 / 說敎 [언론·출판/언론/방송]
1936년 6월 25일에 국한문을 혼용하여 1-2단으로 종서 편집하여 발행한 교역자들을 위한 월간지. 내용에 실린 설교는 완전한 설교보다 설교초가 많으며, 설교와 기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재집 / 雪齋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9.8×18.8cm이고, 반곽은 21.2×14.8cm이다. 표제는 설재만둔양공유집(雪齋晩遯兩公遺集)이고, 판심제는 설재집(雪齋集)이다. 김려(金礪)가 지은
성경학교 / 聖經學敎 [종교·철학/개신교]
한국 개신교에서 성경을 교육하는 기관. 미국 감리교 선교사인 스크랜톤(Scranton,M.F.) 부인이 1888년 서울에서 성경반을 시작함으로써 그 효시가 되었다. 일제시기 신사참배의 강요로 신앙진리가 유린당하게 될 위기를 맞자, 성경학교는 모두 문을 닫고 일제에 항거
성공회강화성당 / 聖公會江華聖堂 [종교·철학/천주교]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에 있는 대한성공회 성당.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1호. 대한성공회의 초대 주교인 코프(Corfe, C. J.)에 의하여 1900년에 건립되었다. 강화에 제일 먼저 성당이 건립된 것은 우리나라에서 1896년 6월 13일 처음으로 세례교인이
성교요리문답 / 聖敎要理問答 [종교·철학/천주교]
한국 천주교 최초의 공식 교리서. 한문판 <성교요리문답>을 번역한 것으로서 1864년 조선교구장 베르뇌(Berneux) 주교에 의해 목판인쇄로 간행되었다. 천주교의 근본교리를 문답의 형식으로 풀이, 성세고해, 성체, 견진의 네 가지 근본교리를 담고 있다. 1864년 간
성당 / 聖堂 [종교·철학/천주교]
천주교 신자들이 종교전례에 참여하기 위하여 모이는 회당(會堂). 우리 나라에서는 천주교회·천주교회 건물 등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고 신자들을 지체로 한 그리스도 신비체로서의 성역이라는 정신적 기능을 구체화하는 장소라 할 수 있다. 약현성
성당가 / 聖堂歌 [문학/고전시가]
1898년김기호(金起浩)가 지은 천주가사. 한글필사본. 모두 527구. 음수율은 4·4조이다. 서울 명동 대성당의 낙성식을 보고 그 기쁨을 노래한 가사이다. 이 작품은 필사본인 절두산 순교자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홍방지거가첩』 속에 전한다. 이 가첩에는 「성당가」
성도교 / 性道敎 [종교·철학]
동학계열의 신종교. 1923년 이민제가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서 창립하였다. 이민제는 시천교에서 활동하다가 1923년 4월에 득도하여 <삼역대경>을 저술하고 성도교를 창립하였다. 일제하에서 성도교는 사교로 지목, 이민제는 9개월간 옥살이를 했다. 이후 성도교를 제세교
성동사관학교 / 城東士官學校 [역사/근대사]
1925년 북만주에서 설립된 독립군 간부양성기관. 1925년 대한군정서와 대한독립군단을 중심으로 신민부가 결성되었는데, 신민부가 5개대대의 독자적인 독립군을 편성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독립군 양성을 목적으로 목릉현 소추풍에 이 학교를 설립하였다. 이 학교는 연 2
성빈 / 聖貧 [언론·출판/언론/방송]
동경 복음운동사가 1937년 4월 1일에 국한문을 섞어 내리 편집하여 매월 발행한 사회사업 부산 성빈학사의 기관지. 내용으로는 사설, 논문, 설교, 성서강해, 시와 산문, 번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