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지시명찰가 / 知時明察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국한문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간행된 『용담유사(龍潭遺詞)』 제25항에 수록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도서관본 『신실시행가(信實施行歌)』에도 실려 있다. 동학의 교리와 이념을 널리 세상 사람들에게 알
지식인 / 知識人 [사회/사회구조]
지식계급에 속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 인간은 누구나 지식을 터득할 수 있는 소질을 타고난다. 이 소질을 바탕으로 언어와 상징을 이용하여 집단생활을 하면서 필요한 지식을 보존하며, 후대에 전수하는 문명생활을 발전시켜왔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이
지신밟기 / 地神─ [생활/민속]
음력 정초에 지신을 진압함으로써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강(安康 : 평안과 건강함)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을 축원하는 민속놀이. 꽹과리·징·북·장구·쇠납 등의 민속악기로 구성된 풍물을 선두로 소고패·양반·하동(河童)·포수·머슴과 탈을 쓴 각시 등이 마을의 당
지신사 / 知申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 정원은 1인. 1275년(충렬왕 1) 원간섭기 관제가 격하될 때 추밀원의 지주사(知奏事)가 개칭된 것이다. 1298년 충선왕이 실시한 관제개혁에서 밀직사가 폐지되고 광정원 설치시 혁파. 1308년(충선왕 복위년)에도 밀직사가 폐지,
지신허 / 地新墟 [사회/촌락]
1863년 이후에 러시아 이주 한인이 모여 산 최초의 한인 마을. 19세기 후반에 연해주 일대의 여러 곳에 만들어진 한인 집단 거주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마을의 하나이다. 연해주 지역 고려인 사회의 중심이자 발원지로 자리하였다. 두만강 주변에 살던 조선인들이 국경을
지아악 / 枝兒樂 [문학/고전시가]
신라 파사왕(婆娑王)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가악(歌樂)이다. 『삼국사기』 잡지(雜志) 악조(樂條)에 제목만 소개되어 있다.
지억산 / 芝億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정선군 남면과 동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17m. 태백산맥의 세 줄기 가운데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각희산(角戱山, 1,083m)·군의산(郡蟻山, 922m), 서쪽에 곰봉(1,015m)·계봉(1,028m), 남쪽에 두위봉(斗圍峰, 일명 두리봉,
지여해 / 池汝海 [종교·철학/유학]
1591(선조 24)∼1636(인조 14). 조선 후기의 무신. 용기 후손, 영수 증손, 할아버지는 운, 아버지는 경담, 어머니는 김정현의 딸이다. 장연부사, 철산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남한산성에서 어영포수 200여 명을 이끌고 나아가 싸우다 전원이 전사하였다.
지역계획 / 地域計劃 [지리/인문지리]
일정한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 또는 미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설계된 연속적 행동 지침.지역개발계획. 어느 한 지역 또는 둘 이상의 지역이 공통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해결함으로써 한층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거나 특정 시점에서 어느 한
지역사회개발 / 地域社會開發 [사회/사회구조]
일정한 지역사회 주민의 생활 수준의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지역사회의 문제를 스스로 발견하고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능력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정책. 지역사회 개발이란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경제적·문화적·사회적·정치적 조건을 개선하는 것을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