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지남집 / 砥南集 [종교·철학/유학]
김남일의 문집. 2권1책. 목판본. 권두에는 조종필의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 권상대, 김성진, 김구현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72수가 실려 있으며, 권2에는 서 8편, 제문 1편, 잡저 1편, 그리고 부록으로 가장, 행장, 묘갈명, 묘지명 각 1편, 제문 3
지눌 / 知訥 [종교·철학/불교]
고려 중기의 승려. 국사로 추증되었다. 정씨, 1158년에 태어나 1210년에 죽었다. 8세때 선문구산의 하나인 사굴산파에 속해 있던 종휘 밑에서 출가, 1182년 승과에 급제하였다. 그는 선종의 계보를 잇고 있지만 참선수행만을 주장하지 않고 교학의 연구도 병행하는 정
지덕붕 / 池德鵬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72년(고종 9). 조선 말기의 유학자. 초명은 지상일(池祥馹), 자는 군거(君舉), 호는 상산(商山), 본관은 충주(忠州)이다. 구와(龜窩) 김굉(金㙆: 1739∼1816)의 문인으로, 시조가 유명하다. 저서는 시문집인 『상산선생문집(商山先生
지도 / 地圖 [지리/인문지리]
지구의 표상을 일정한 형식을 이용해 약속된 기호로 표현한 그림. 지도는 공간의 표상을 일정한 형식을 이용해 표현한 것으로, 대부분 2차원의 평면에 그림의 형태로 그려진다. 사물의 위치 표현에서 객관적인 정확성을 지향하고,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지명이 함께 기재되기 때문
지도 / 志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소격서에 소속된 종9품 잡직. 정원은 1인이다. 도류(道類) 출신의 전문직으로서 삼청전·태일전 등에서 초제를 담당하였다. 소격서에는 15인의 도류와 8인의 둔갑도류가 소속되어 있었는데, 이들을 위한 정규관직은 지도 1인과 종8품 상도 1인 의 두 자리밖에
지도 / 智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에 속하는 연륙도. 목포에서 북서쪽으로 61㎞ 떨어져 있으며, 서쪽에 임자도, 남서쪽에 사옥도가 있다. 동경 126°13′, 북위 35°05′에 위치한다. 2001년 현재 인구는 5,359명(남 2,735명, 여 2,624명)이고 세대수는 1,87
지도 / 紙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지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8°33′, 북위 34°54′에 위치하며, 원평리 해안에서 동쪽으로 0.5㎞ 지점에 있다. 북쪽으로 5㎞ 지점에는 어의도가 있다. 면적은 1.46㎢이고, 해안선 길이는 5.5㎞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91명
지도군읍지성책 / 智島郡邑誌成冊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지도군(현 신안군 지도읍)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 1899년에 편찬되어 일제강점기에 편사된 『지도군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구성은
지도군총쇄록 / 智島郡叢鎖錄 [지리/인문지리]
개항기 문신·학자 오횡묵이 전라남도 지도군(현 신안군 지도읍)에 관하여 1897년에 편찬한 지리서. 2책. 필사본. 날짜순으로 기록한 일기체 형식의 글로 제1책에는 1895년(고종 32) 2월 11일부터 1896년 9월 29일까지, 제2책에는 1896년 10월 1일부터
지도향교 / 智島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에 있는 향교. 1438년(세종 2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 뒤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내삼문·외삼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