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지계서원 / 芝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지북리에 있었던 서원. 1788년(정조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양배(楊培)·이유겸(李有謙)·양응수(楊應秀)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 지곡 / 地谷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서산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지륙현(知六縣)이었는데 신라 때 지육(地育)으로 고쳐 부성군(富城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때에 지곡현으로 고쳤으며,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따랐다. 그 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문현면(文峴面)과 대산면(大山面)의 일부

  • 지구관 / 知彀官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훈련도감 등에 소속된 군관직. 서울의 훈련도감, 수원의 총리영 및 각 도의 순영과 병영에 두었다. 그 정원은 훈련도감과 총리영에 각 10인, 충청도 순영에 4인, 병영에 6인, 전라도 순영에 2인, 병영에 17인, 경상도 순영에 4인, 좌병영에 8인, 우

  • 지구무 / 地球舞 [예술·체육/무용]

    대한제국기에 광무대 기생이 춘 창작춤. 지구무의 내용이나 구성을 확인할 구체적 사료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다만 지구무가 초연된 광무대 공연에서 전기광무(電氣光舞), 이화무(梨花舞), 시사무(矢射舞)도 함께 추어졌는데, 이 춤들은 모두 이전 시대에 없던 춤으로, 개화

  • 지구성미래몽 [문학/고전산문]

    1909년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 작품은 몽유자가 방랑하는 모습 및 주변 풍경에 대한 묘사, 옥경에 들어가게 되는 과정 및 옥경에 대한 묘사 등에 있어 몽유를 기본 모티프로 하는 전래의 몽유록적, 전기소설(傳奇小說)적 수사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 지구약론 / 地球略論 [지리/인문지리]

    개항기 학부 편집국에서 청소년의 지리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목활자본. 권두서명에는 한자와 함께 ‘디구략론’이라 씌어 있다. 한글로 되어 있고 중요단어는 한자를 병기하였으며, 20장의 소책자로 문답식으로 풀이된 지리책이다. 모두 19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크게

  • 지구온난화 / 地球溫暖化 [지리/자연지리]

    지표 부근의 기온이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기상현상. 오늘날 논의되는 온난화는 1970년대 이후의 기온상승이며, 19세기 후반부터 과학적인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후의 기온상승이 그 대상이다. 특히 산업화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온실기체의 증가에 의한 온난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지구전요 / 地球典要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청나라의 『해국도지』·『영환지략』 등을 기초로 1857년에 편찬한 지리서.세계지리서. 13권 7책. 필사본. 본문 12권과 지도 1권으로 되어 있다. 최한기는 당시 우리 나라가 고루한 쇄국정책 때문에 세계 만방의 개화에 보조를 같이하지 못함을

  • 지구전후도 / 地球前後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중국 장팅핑(莊廷甹)의 「지구도」를 본떠 1834년에 중간한 지도.고지도. 목판본.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노정식(盧禎埴) 등 개인소장본도 있다.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중간자는 최한기(崔漢綺)이고 각수(刻手)만

  • 지귀주사 / 志鬼呪辭 [문학/고전시가]

    신라 선덕여왕 대의 지귀(志鬼)에 관한 주사(呪辭). 「지귀주사」는 미천한 지귀가 선덕여왕을 사모하는 이야기로 주목을 끈다. 더욱더 흥미를 느끼게 하는 것은 지귀의 마음을 선덕여왕이 헤아려 만나주고자 했다는 점이다. 그러한 점에서 「지귀주사」는 일반 민중들의 관심을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