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고국 / 故國 [문학/현대문학]
최학송(崔鶴松)이 지은 단편소설. 1924년 『조선문단(朝鮮文壇)』 창간호에 발표되었다. 최학송의 체험적 요소가 짙은 이 작품은 3·1운동 후 큰 뜻을 품고 간도로 떠났던 한 젊은이의 방랑과 고뇌와 좌절을 통하여 고향으로 상징되는 조국을 잃은 식민지 하에서의 한국인의
고군산군도 / 古群山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에 속하는 군도. 군산시의 서남쪽 약 50㎞ 해상에 위치하며, 옥도면에 소속되어 있는 군도(群島)이다. 선유도(仙遊島)를 비롯하여 야미도(夜味島)·신시도(新侍島)·무녀도(巫女島)·관리도(串里島)·장자도(壯子島)·대장도(大長島)·횡경도(橫境島)·소횡
고규상 / 高圭相 [종교·철학/유학]
1854-1941. 일제강점기 유학자·문신. 자는 문집(文執)이고, 호는 운포(雲圃)이다.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전라북도 군산시(群山市) 옥구군(沃溝郡) 임피면(臨陂面) 월하리(月河里)에서 태어났다. 문충공(文忠公) 고경(高慶)의 후손이며, 고정량(高廷良)의 아들이
고금가곡 / 古今歌曲 [문학/고전시가]
편자 연대 미상의 가집. 체재와 내용을 살펴보면, 「귀거래사 歸去來辭」·「채련곡 采蓮曲」·「양양가 襄陽歌」·「억진아 憶秦娥」 등 중국의 「사부가곡 辭賦歌曲」이 권두에 있다. 그 다음에는 「어부사 漁父詞」·「상저가 相杵歌」·「감군은 感君恩」·「관동별곡 關東別曲」·「사미인
고금기가 / 古今奇歌 [문학/한문학]
편자·연대 미상의 가집(歌集). 1책. 한글필사본. 이 가집에 수록된 작품은 「오륜가(五倫歌)」·「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사우가(思友歌)」·「관동별곡」·「역대가(歷代歌)」·「운림처사가(雲林處士歌)」·「거산청흥가(居山淸興歌)」·「규중가(閨中歌)」·「원부가(怨夫歌)」·
고금녀범 / 古今女範 [종교·철학/유학]
중국 역사에서 후대에 모범이 될 만한 여성들을 선정하여 그 일화들을 모아 엮은 교훈서.여훈서. 고금녀범(古今女範)은 중국 역사에서 후대에 모범이 될 만한 여성들을 선정하여 그 일화들을 기록한 교훈서 성격의 책이다. 한글 필사본이며 작자와 편찬 연대는 미상이다. 본서의
고금당집 / 古今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노덕규의 시문집. 4권 3책. 목판본. 1908년 장자 노우용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1에 시·책, 권2에 잡저, 권3에 서·기·발·상량문·제문·묘문·장록·유사, 권4는 부록으로 만장·행장·묘갈명·발, 별책으로「해동속악부」가 실려 있다.
고금도 / 古今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있는 섬. 고금면의 중심인 섬으로, 동경 126°45′, 북위 34°12′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강진만이 있고, 서쪽과 남쪽, 동남쪽에는 각각 완도, 신지도, 약산도(조약도)가 자리하고 있다. 면적은 43.66㎢이고, 해안선 길이는 62.5㎞
고금록 / 古今錄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전기 문신 박인량이 편찬한 역사서. 10권. 편찬 직후 비서성(祕書省)에 보관하였다 하나 현전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고금록 / 古今錄 [역사/고려시대사]
고려 후기 문신인 감수구사 원부·수국사 허공·한강 등이 충렬왕 10년(1284)에 편찬한 역사서. 원부(元傅)·허공(許珙)과 한강(韓康) 등이 찬하였다고 하나 현전하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