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난곡유고 / 蘭谷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정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929년 그의 후손 해영(海榮)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은 시 60수, 서(書) 1편, 제문
난곡유고 / 蘭谷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우석일의 시·서(序)·잡저·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그의 후손인 재정(在鼎)·한석(漢奭)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송규헌(宋奎憲)의 서문과 권말에 10대손 한기(漢琦)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
난국재집 / 蘭菊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예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51년(철종 2) 손자 규현(奎鉉)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홍직필(洪直弼)·김면근(金勉根)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하백원(河百源)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
난록 / 爛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숙종·경종·영조 연간의 정치적 변동이 심했던 시기의 중요 사실을 기록한 역사서. 이 책은 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저본이 되었다. 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에 비해 일반적인 사항은 소략되거나 누락된 부분이 있으나 소차·연주·부주(附奏)·장계(狀啓)·교서(敎
난리가 [문학/고전시가]
1728년(영조 4)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쓰여진 작자 미상의 가사. 1책 48장. 국문필사본. 서울을 출발하여 경기도·충청도·경상도·전라도를 거쳐 다시 서울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에서 겪은 군사들에 대한 음식 대접, 무고한 백성들의 희생, 반란군의 대진(對陣) 모습
난사집 / 蘭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최현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0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두에 김필수(金弼洙)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시 384수, 부 1편, 표 1편, 전(箋) 3편, 제문 1편, 책문(策文) 2편, 기 1편, 서(書) 8편, 권2는 금강음(金剛吟) 81수, 기행문
난석집 / 蘭石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박창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1책. 석인본. 1959년 증손인 승효(勝孝)·승직(勝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문옥(金文鈺)의 서문과 권말에 승직의 발문이 있다. 단국대학교 도서관과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
난설헌집 / 蘭雪軒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시문집. 『난설헌집』에 수록된 작품은 시가 총 210수이고 기타 사(辭) 1수, 「몽유광상산시서 夢遊廣桑山詩序」 1편, 「광한전백옥루상량문 廣寒殿白玉樓上梁文」 1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부록으로 주지번의 서문, 양유년의 난설헌집제사
난여일록 / 爛餘日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제20대 왕 경종초기부터 제21대 왕 영조 즉위 때까지의 기사 중 중요 사실만을 기록한 역사서. 실록. 3권 3책. 필사본. 간행여부는 미상. 규장각 도서에 있다.『승정원일기』나 왕조실록에 근거를 두고 당시의 중요한 사실을 모두 다루었고, 그밖에 중요한 전지
난중잡록 / 亂中雜錄 [역사/조선시대사]
남원의병장 조경남이 임진·정유 양란 당시의 상황과 국내 외 정세 등을 기록한 야사집. 4권 2책. 필사본. 이 책에는 저자 자신이 의병장으로 활동한 사실뿐 아니라 당시 나라 전체의 역사적 상황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이 중에 특히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수록한 자료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