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선원전경기전작헌례급청명추석제진설도 친행동 / 璿源殿慶基殿酌獻禮及淸明秋夕祭陳設圖 親行同 [정치·법제]
선원전과 경기전에서 작헌례를 올리거나 24절기 중의 하나인 청명일과 추석에 제사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이왕직에서 정리하면서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선원전고유다례급선원전경기전고유제진설도 / 璿源殿告由茶禮及璿源殿慶基殿告由祭陳設圖 [정치·법제]
조선시대 태조 이하 역대 임금과 왕후의 영정을 봉안한 선원전에 고유 다례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경기전과 준원전에도 선원전에서 올릴 때와 동일하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고 있다.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이왕직에서 정리하
선원전작헌례진설도 친행동 / 璿源殿酌獻禮陳設圖 親行同 [정치·법제]
조선시대 태조 이하 역대 임금과 왕후의 영정을 봉안한 선원전에서 작헌례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이왕직에서 정리하면서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선원전전수이하원역이력서 / 璿源殿典守以下員役履歷書 [정치·법제]
선원전 소속 전수를 비롯해 전수방 하인, 상직 차비 등에 대한 이력서. 이 문서는 1911년 7월 이전에 작성된 문서로 추정되는데 이는 경선궁의 명칭에서 확인된다. 경선궁은 1911년 7월에 덕안궁으로 개칭되었는데 이 문서는 경선궁으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의식 / 襢儀式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의 제천의식. 대종교에서는 제천의식을 선의식이라 하고 일반의식을 경배식이라고 한다. 선의식은 중광절, 어천절, 가경절, 개천절 등 대종교의 4대 경절 새벽에 천진전에서 거행한다. 선의식은 홀기에 따라 행한다. 선의식은 1916년 나철이 구월산 삼성사에서 조천 의식
선천경찰서투탄의거 / 宣川警察署投彈義擧 [역사/근대사]
1920년 9월 1일에 박치의(朴治毅)가 일으킨 의거. 1920년 미국 국회의원단 일행이 한국을 통과한다는 소식을 접한 한국독립운동계는 일제에 저항하는 모습을 강렬하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에 광복군총영에서는 3개의 결사대
선함사 / 船艦司 [역사/근대사]
1880년 12월 각종 선박을 제조하고 이를 총괄하는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통리기무아문에 산하 관서. 설립 당시 선함당상에는 심순택과 신정희가 임명되었으며, 1881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개편과 더불어 폐지되었다.
선화신사전 / 鮮和新辭典 [언어/언어/문자]
1930년 3월 조선어연구회가 발행한 한국어-일본어 대역사전. 1930년 3월에 조선어연구회가 발행한 사전이다. 단어에 대한 뜻풀이가 일본어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일본인 독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1920년 조선총독부가 간행한 『조선어사전』과 한국어-일
선화양인모던조선외래어사전 / 鮮和兩人모던朝鮮外來語辭典 [언어/언어/문자]
1937년 이종극이 편찬한 종합 외래어사전. 경성의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된 것으로 출판 당시에는『선화양인 모던조선외래어사전(鮮和兩人 모던朝鮮外來語辭典)』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속표지 앞에는 일본의 「오십음색인(五十音索引)」, 한국의 「가나다색인(索引)」이 있으
선희궁춘추분제진설도 / 宣禧宮春秋分祭陳設圖 [정치·법제]
영조의 후궁이며 추존왕인 장조를 낳은 영빈 이씨의 신위를 모신 선희궁에서 춘분, 추분에 제사와 고유제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