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민유중 / 閔維重 [종교·철학/유학]
1630(인조 8)∼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여준의 증손, 할아버지는 기, 아버지는 광훈, 어머니는 이광정의 딸이다. 숙종의 비 인현왕후의 아버지이다. 대사헌 기중과 좌의정 정중의 동생이다. 1651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을 거쳐 예문
민응기 / 閔應祺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학자. 이황의 문인이다. 1565년(명종 20) 왕자의 사부가 되어, 선조연간에도 그 직에 머물렀다. 벼슬은 현감에 그쳤으나, 그가 가르쳤던 광해군이 1608년 즉위하여 왕자 때의 사부였던 그를 하락·박광전 등과 함께 추모하면서 제물을 내려주
민응수 / 閔應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4∼1750) 광훈 증손, 할아버지는 시중, 아버지는 진주, 어머니는 정상징의 딸이다.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호서안무사의 종사관으로서 엄정하게 군기를 잡는 공을 세워 동래부사가 되었으며, 후에 우의정에 이르렀다. 후에 이광좌·조태억의 관작추
민응형 / 閔應亨 [종교·철학/유학]
1578(선조 11)∼1662(현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총 증손, 할아버지는 치중, 아버지는 승지 호, 어머니는 홍익세의 딸이다. 1612년(광해군 4)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에 보임되었다. 승문원박사, 지평, 좌부승지, 대사간, 병조참의, 좌부승지
민이승 / 閔以升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어려서부터 과거시험에는 뜻을 두지 않고 사서와 육경을 통독하면서 문장에 뛰어난 재질을 보였다. 윤증의 문하에 들어가 이미 그 능력을 인정받았고, 당대의 석학이던 김창협과 학문에 관한 토론을 벌이면서 그 명
민정중 / 閔鼎重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여준 증손, 할아버지는 경주부윤 기, 아버지는 강원도관찰사 광훈, 어머니는 판서 이광정의 딸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49년(인조 27)에 정시 문과에 장원해 성균관전적으로 벼슬에 나가, 예조좌랑, 동
민준 / 閔濬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614(광해군 6).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구, 아버지는 계랑, 어머니는 조숙형의 딸이다. 현감 순량에게 입양되었다. 1576년(선조 9)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해 한림으로 등용되고, 1591년 병조참의가 되었다. 좌부승지,
민진강 / 閔鎭綱 [종교·철학]
1659년(효종 10)~1727년(영조 3). 증조부는 민환, 우암 송시열 문하에서 수학. 관직은 가감역·군위현감·종묘령·남원부사를 역임, 품계는 통훈대부에 이르렀다. 유고집이 있으며, 아들은 민종수·민현수·민처수·민조수·민점수가 있는데, 막내아들 민점수는 동생 민진
민진원 / 閔鎭遠 [종교·철학/유학]
1664(현종 5)∼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기 증손, 할아버지는 광훈, 아버지는 여양부원군 유중, 어머니는 송준길의 딸이다. 숙종비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우참찬 진후의 동생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91년(숙종 17)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
민진장 / 閔鎭長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 기 증손, 할아버지는 광훈, 아버지는 정중, 어머니는 송준길의 딸이다. 의령남씨로 예조판서 이성의 딸을 아내로 맞아 호조정랑 재수 등 5남을 두었다.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20세(1669)에 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