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수향편 / 袖香編 [종교·철학/유학]
1854년(철종 5) 정원용이 조정의 전장의를 모아 엮은 책. 6권 3책. 필사본. 저자가 1802년(순조 2) 정시에 급제한 뒤 50여년간 관직에 있으면서 법규나 의례 등에 관하여 수시로 기록하여 보관해왔던 글을 모은 것이다. 권1에 중국세대연호·본조세대원년·양파공사
수현집 / 壽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석지형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1709년(숙종 35) 아들 규서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허목의 서문과 권말에 김성호·규서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26수, 부 7편, 계 1편, 잡저 3편, 상량문 1편, 계수부 1편,
순암집 / 順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병성의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형 병연과 아들 도중이 수집한 것을 1741년(영조 17) 이질인 유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어유봉과 윤봉조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유수·유엄·유최기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시 718수, 권5·6에 서
순자 / 荀子 [종교·철학/유학]
BCE 313-BCE 238년 경. 중국 전국시대의 유학자. 조나라에서 출생하였다. 여러 나라를 유세하다가 만년에는 초나라에서 강학과 저술에 전념하였다. 그의 학설은 성악설로 대표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욕망으로 가득찬 존재이므로 본래 악할 수 밖에 없다고 한다. 그러
순장 / 殉葬 [종교·철학/유학]
살아 있는 사람을 죽은 사람과 함께 묻는 장법. 죽은 사람이 사후에도 살아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생활을 한다는 관념에서 비롯하였다. 신분계층이 뚜렷하고 가부장제적인 고대국가에서 많이 행해졌으며, 왕후 또는 귀족이 사망하였을 때 첩, 신하, 종자 등을 함께 묻는 것이 보
식암집 / 息菴集 [종교·철학/유학]
황섬의 문집. 목판본, 서:신경준(1769), 5권 3책. 1769년(영조 45)에 간행. 권1.2에는 시 425수가 있다. 권3에는 비답 1편, 소 5편이 있고, 권4에는 서 15편, 잡저 2편, 기 1편, 발 2편, 명찬 3편, 전문과 책문이 각 1편, 제문 19편
신개 / 申槩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46(세종 28).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집, 아버지는 안이다. 어머니는 임세정의 딸이다. 1393년(태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로 발탁되었는데, 당시 태조가 실록을 보자고 할 때 그 불가함을 강력히 논하였다. 이어
신겸제 / 申兼濟 [종교·철학/유학]
1675년(숙종 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용, 조부는 신득홍이다. 부친 신학과 모친 윤전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안여악의 딸이다. 1708년(숙종 34) 식년시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7년(숙종 43)에는 태천현감으로 재직 중이었는데, 당시
신경 / 申暻 [종교·철학/유학]
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문신. 여식 증손, 할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박세채의 딸이다. 이조참판 방의 아우이다. 도학이 뛰어나 세자보도로 천거되어 종부시주부, 사헌부의 장령·집의·시강원서연관·금성현령·호조참의·찬선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직암집』이 있다
신경윤 / 愼景尹 [종교·철학/유학]
1624년(인조 2)∼미상. 조선 중기 문관. 증조는 신유, 조부는 신수신이다. 부친은 신영건, 생부는 신영진이다. 형은 신대윤이다. 1666년(현종 7) 별시 문과에서 병과 1위로 급제하였고, 정6품 사과 등의 여러 관직을 지냈다. 김해부사를 역임하였고, 168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