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광훈 / 高光薰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의병장(1862-1930). 호는 동강(桐崗). 형 고광순(高光洵)의 의병진에 참모부장으로 활약, 구례 연곡사에서 일본군 기습공격으로 형이 전사하자 장례를 치르고 의병을 재결집해서 왜적과 싸우다 잡혀 귀양 갔다. 198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고교평준화정책 / 高敎平準化政策 [교육/교육]

    교육의 평등성 실현이라는 이념 아래 고교간 교육격차를 완화하여 고교교육을 균등화하려는 정책. 1960년대에 중학교 입시경쟁이 치열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1969년에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의 입시위주 교육은 사라지게

  • 고구 / 高丘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구화현(仇火縣)이었던 것을 신라의 경덕왕이 고구현(高丘縣)으로 고쳤다. 『대동여지도』에는 고악(高岳)으로 표기되어 있다. 고려 현종 때 안동부의 임내(任內)로 하였다가, 공양왕이 의성군에 합속시켰다. 세종 때 이곳에 잠실(蠶室)을

  • 고구려 평양성 석편 / 高句麗平壤城石片 [예술·체육/서예]

    고구려시대 평양 일원에 성벽을 쌓을 때 각자(刻字)한 성석의 파편. 보물 제642호. 원래의 성석에서 각자 부분을 떼어낸 것으로, 현재 2행이 결실되어 크게 두 조각이 나 있고 전체가 여러 조각으로 균열된 것을 석고로 고착시켰다. 지금까지 평양의 고구려시대 벽에서 각자

  • 고구려대학교 / 高句麗大學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백호로(복암리)에 있는 사립전문대학. 1995년 금성환경전문대학으로 설립인가되었으며, 1996년 2월부터 산업체 위탁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997년 5개 학과에 200명을 증원하였다. 1998년 5월 나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2년

  • 고구려무 / 高句麗舞 [예술·체육/무용]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고구려무」는 고구려시대의 춤이 아니고, 고구려와 연관된 옛 시를 창사로 부르면서 옛날을 회상하는 춤이다. 창사는 다음과 같다.금화 절풍모 쓰고/백마로 더디 도네/번득이는 넓은 소매/해동에 새가

  • 고구려비기 / 高句麗秘記 [역사/고대사]

    고구려의 운수가 다하여 늙은 장군에게 망하게 되리라는 예언적 내용의 도참서.참위서. 현전하는 자료 중에는 『당회요 唐會要』에 가장 먼저 나타나 있으며, 그 기사를 약간 개서한 정도의 것이 『신당서 新唐書』와 『삼국사기』에 전해지고 있다. 이 비기의 내용이 어떤 것들인지

  • 고구려어 / 高句麗語 [언어/언어/문자]

    고구려의 언어. 극히 단편적인 자료밖에 전하지 않아 자세한 연구는 불가능하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고구려의 언어에 대하여 부여·옥저·예 등의 언어와 비슷하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것을 부여어군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부여어군의 언어들은 모두 사멸되었지만, 그

  • 고구려토기 / 高句麗土器 [역사/고대사]

    고구려의 영역 및 그 시대에 제작된 토기. 고구려토기는 백제나 신라토기에 비해 남아 있는 유품이 희소하여 그 발전과정을 구체적·계통적으로 고찰하기 어렵다. 단지 고구려 고지(故地)의 고분이나 건물지 등 각 유적에서 반출된 토기들을 통해 그 특징의 일부를 살펴볼 수 있을

  • 고구마 [과학/식물]

    메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감저(甘藷)·조저(趙藷)·남감저(南甘藷)라고도 한다. 학명은 Ipomoea batatas LAM.이다. 원산지는 열대아메리카로 우리 나라에는 일본을 통하여 전래되었다. 고구마라는 이름도 일본말 고귀위마(古貴爲麻)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