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서울화력발전소 / ─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서울특별시 마포구 당인동에 있는 중유전소 화력발전소. 부지면적 4만 5135평에 단위기 용량 137.5㎿ 및 250㎿의 기력발전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총시설용량 387.5㎿의 발전소이다. 1929년 당시 경성전기주식회사(京城電氣株式會社)에서 건설한 1호기(10㎿급 석탄화

  • 서원시사 / 西園詩社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 지석관(池錫觀)·김희령(金羲齡)이 중심이 된 문인들의 모임. 원래 서원시사·서사(西社)는 송석원시사의 별칭이었으나 그 뒤 김희령의 일섭원이 서원이라 불리게 되자 이것을 명칭으로 채택하게 된 것으로서 송석원시사의 맥을 잇는다는 의도가 다분히 내포되어 있다. 참

  • 서유견문 / 西遊見聞 [역사/근대사]

    유길준이 1889년 탈고하여, 1895년 출판한 근대국정개혁서. 서구의 ‘근대’모습을 보고 우리의 근대를 어떻게 건설할 것인가를 정치 경제 법률 교육 문화 등 각 부문의 구체적인 내용과 그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근대화 방략서’이며, 조선의 개국연호를 쓰고 있다.

  • 서일 / 徐一 [종교·철학/대종교]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종교가(1881-1921). 호는 백포(白圃). 1911년 중광단을 조직하였고, 1919년 서로군정서를 개편하여 총재에 취임하였다. 1920년에는 청산리전투를 이끌었다. 대종교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저서로는 <삼일신고강의>, <회삼경> 등이

  • 서재만 / 徐在萬 [역사/근대사]

    1904년(광무 8) 9월 23일∼1984년 4월 19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완도군(莞島郡) 청산면(靑山面)이다. 1923년 완도군 청산면(靑山面) 모도리(茅島里) 대모도(大茅島)에서 마을의 개량서당(改良書堂)을 후원하기 위한 배달청년회(倍達靑

  • 서재필 / 徐載弼 [역사/근대사]

    현대의 정치가·독립운동가(1864-1951). 호는 송재(松齋). 1882년 3월 별시 문과 병과에 합격하여 교서관의 부정자에 임명되었다. 1884년 12월 김옥균·홍영식 등과 갑신정변을 일으켜 18세의 젊은 나이로 병조참판 겸 정령관이 되었으나 정변의 실패로 일본을

  • 서정옥 / 徐廷玉 [종교·철학/유학]

    1843년(헌종 9)∼1921년. 조선 말기 유학자. 증조는 서치순, 조부는 서상헌, 부친 서광중과 모친 오천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외조부는 정인섭이다. 부인 정윤섭의 딸 오천정씨와의 사이에 2남 1녀를 두었다. 맏아들은 서규석이다. 1895년(고종 31)에 큰형이

  • 서천이하복가옥 / 舒川李夏馥家屋 [생활/주생활]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중요민속자료 제197호. 이 집은 19세기 후반에 3칸 안채를 건립한 후 20세기초에 사랑채, 아랫채, 광채를 지으면서 안채의 좌우측을 증축한 것이다. 이 집은 사랑채의 우측에 아래채를 별설하여 며느리에게 독립적

  • 서파문집 / 西坡文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문인 이이두(李以斗)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41년 손자 상준(相駿)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상화(相驊)·상준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120수, 서(書) 3편, 잡저 4편, 제문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輓)

  • 석각천문도 / 石刻天文圖 [과학/과학기술]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 소장되어 있는 돌에 새겨진 천문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돌판 위에 별자리를 새겨놓은 석각천문도(石刻天文圖)이다. 이 석각천문도의 앞면에는 서양식 별자리가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8방위의 방향표가 새겨져 있다. 이 유물은 원래 충청북도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