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경양지 / 慶陽池 [경제·산업/산업]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에 있었던 조선 전기의 수리시설. 현재 광주고등학교·계림초등학교와 전 광주상업고등학교의 정문 앞에서부터 부채꼴모양으로 벌어진 남서쪽 일대의 인공 연못이 바로 그 자리이다. 제방의 길이는 300m, 저수면적은 40여ha이며, 저수량과 몽리(蒙利:저수
경연 / 經筵 [역사/조선시대사]
국왕에게 유학의 경서를 강론하는 일. 국왕에게 경사(經史)를 가르쳐 유교의 이상정치를 실현하려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실제로는 왕권의 행사를 규제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경연강의 / 經筵講義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김우옹이 경연에서 강의하고 토론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1책. 필사본. 필사연대 미상. 1573년부터 1595년까지의 강론을 수록한 것이다. 이 글은 1906년에 중간되었던 『동강선생문집(東岡先生文集)』과 1976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경외학교절목 / 京外學校節目 [교육/교육]
1546년 예조에서 성균관과 사학(四學)·향교 등 전국의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제정·반포한 규정집. 성균관과 사학(四學)·향교 등 전국의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삼고 있다. 모두 4조목으로 교사의 채용, 교과목, 입학, 평가와 상벌, 동몽훈도(童蒙訓導)에 관한 규정까지
경원향교 / 慶源鄕校 [교육/교육]
함경북도 경원군(현재의 새별군) 경원면 성내동에 있는 향교. 1437년(세종 19)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신문(神門)·전사청(典祀廳)·제기고(祭
경은실기 / 耕隱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이맹전의 유고와 행장·묘갈명 등을 수록하여 1816년에 간행한 실기. 3권 1책. 목판본. 1816년(순조 16) 후손 인백(仁伯)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헌경(李獻慶)의 서문과 권말에 유심춘(柳尋春)·신면주(申冕周)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
경의 / 景衣 [생활/의생활]
성장(盛裝)한 옷 위에 덧입던 옷. 궁중복식의 하나이다. 조선시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가례의식(嘉禮儀式) 중 납비의(納妃儀 또는 納嬪儀)에 의하면, 사자(使者)를 명하여 왕비(또는 세자빈)를 봉영(奉迎)하는 의식이 끝나면 왕비(또는 세자빈)는 의식 중 갖추었던
경재문집 / 敬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하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3책. 목판본. 1826년(순조 26) 초간되었고, 1856년(철종 7)에 중간되었으며, 현전본은 1919년 후손 술효(述孝)·순효(純孝)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柳尋春)의 서문이
경재집 / 敬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남수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804년(순조 4) 그의 후손 국환(國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환기(宋煥箕)의 서가 있고 권말에 김인순(金麟淳)의 발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
경절공 손중돈 및 정부인 최씨의 묘비‧석인상 / 景節公 孫仲暾 ─ 貞夫人 崔氏─ 墓碑·石人像 [예술·체육/체육]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묘비와 석인상. 손소(孫昭)의 아들로 상주목사와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1517년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공조판서에 이어 도승지, 대사간 등을 지내고 우참찬에 이르렀다. 중종 때 청백리에 선정되었고, 사후 경주 동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