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총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계산서 / 計算書 [문학/현대문학]
이선희(李善熙)가 지은 단편소설. 1937년 『조광(朝光)』 3월호에 발표되었다. 「매소부(賣笑婦)」와 함께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남성본위의 가치 및 질서로부터 여성의 폐해의식과, 남성과 대등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의 존재 확인을 추구하는 일련의 작품 중의 하나이다.
계성 / 桂成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창녕 지역의 옛 지명. 신라 때의 이름은 알 수 없고, 고려 현종 때 밀성군(密城郡)에 속하였다가 1356년(공민왕 5) 영산현(靈山縣)의 임내(任內)로 하였다. 공양왕 때 다시 밀성군에 속하였다가 1394년(태조 3) 영산군의 속현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계성학교맥퍼슨관 / 啓聖學校맥퍼슨館 [예술·체육/건축]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선교사 아담스에 의해 건립된 학교건물.근대건물. 시도유형문화재. 현재 계성학교 교회로 사용하고 있는 1동의 건물로, 2003년 4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었다. 계성학교를 설립한 아담스(Adams) 선교사가 미국
계성학교아담스관 / 啓聖學校아담스館 [예술·체육/건축]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선교사 아담스에 의해 건립된 학교건물.근대건물. 시도유형문화재. 현재 계성학교의 중학교 교무실로 사용하고 있는 1동의 건물로, 2003년 4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었다. 1908년 대구 최초의 선교사인 아담스(
계성학교핸더슨관 / 啓聖學校핸더슨館 [예술·체육/건축]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계성학교 교장 핸더슨이 건립한 학교건물.근대건물. 시도유형문화재. 1931년 당시 계성학교 제4대 교장이었던 핸더슨(Henderson)이 블레어(Blair) 선교사가 미국에서 염출(捻出)한 자금으로 건립한 건물로, 2003년 4월 30
계화 / 桂和 [역사/근대사]
1884-1928년. 독립운동가. 본관은 수안(遂安). 본명은 활(活). 호는 백연(白囦). 일찍이 만주로 이주하여 대종교에 입교, 서일(徐一) 등과 만주에서 중광단(重光團)을 조직, 항일운동에 종사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가한 뒤 중광단을 개편하여 항일군
고경수 / 高景洙 [역사/근대사]
1898-1983. 일제강점기 유학자·시인·항일운동가. 자는 앙여(仰汝)이며, 호는 문연(文淵) 혹은 문재(文齋)이다. 본관은 미상이며, 제주시 오라동(吾羅洞)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는 진옹(震翁) 이응호(李膺鎬)에게서 한문을 익혔다. 후에 전라북도 계화도(界火島)로
고경흠 / 高景欽 [역사/근대사]
1910-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출신지는 제주도이다. 부친은 고성집(高性輯)이다. 어려서 서울에 올라와 정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후 1926년 2월 경성중학교를 중퇴하고, 4월에 보성전문학교에 들어갔으나 1년 후에 그만두
고관상 / 高館相 [종교·철학/유학]
1884-1948.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공보(公甫)이고, 호는 유연당(悠然堂) 또는 담우(淡友)이다. 본관은 장흥(長興)이고, 전라북도 고창군(高敞郡) 신림면(新林面) 왕림(旺林)에서 태어났다. 장령(掌令) 고직(高直)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매헌(梅軒) 고제
고광덕 / 高光德 [역사/근대사]
1874-1945.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북도 남원(南原)이다.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의 후손이다. 1905년(광무 9)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군자금을 출자하고 유생 70여 명을 규합하였다. 1907년(융희 1) 1월 24일 고광채(高光彩)·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