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총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취취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낙질본. 본래는 2책 이상의 분량일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제1권의 1책만이 남아 있다. 표지에는 ‘ᄎᆔᄎᆔ전’이라는 제목과 함께 “경ᄌᆞ 삼월 십일일 ᄀᆡ졔”의 기록이 있다. 그리고 작품의 말미의 “니몽우전 권지니 각셜 하회를
치당태평송 / 致唐太平頌 [문학/한문학]
650년(진덕여왕 4) 신라 진덕여왕이 당나라 고종에게 보낸 한시. 오언고시로 『삼국사기』 권5와 『동문선』 권4에 수록되어 있는데, 『동문선』에는 무명씨 작이라고 되어 있다. 당나라의 태평성대를 기리는 내용의 작품으로 사대외교상(事大外交上) 당의 환심을 사기 위해 보
치사가 / 致仕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모두 3수. 1569년(선조 2) 작자가 77세 때 우참찬벼슬을 그만두고 담양으로 내려갈 때의 심정을 곡진하게 노래하였다. 작자의 문집 『면앙집(俛仰集)』 권4 잡저에 한역으로 수록되어 있다. 첫째수는 각종 가집(歌集)에 작자
치산가 / 治産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고종 때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단가. 지은 연대는 미상이나 70세 이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단가란 광대가 본격적인 소리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목을 풀어보느라고 간단히 부르는 소리를 이르는 말로 작가는 이 작품에서 치산의 길을 퍽 소박한 수법이면서도 실천적이
치술령곡 / 鵄述嶺曲 [문학/고전시가]
신라 눌지왕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창작동기만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다. 눌지왕 때 박제상(朴堤上)이 왜국에 사신으로 가서 돌아오지 않자, 그 처가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그리워하다가, 세 딸을
칠공자전 / 七公子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광정(李光庭)이 지은 전(傳). 『눌은집(訥隱集)』 권20에 실려 있다. 조선 태종의 손자인 우산군(牛山君)이종(李踵)과 그 여섯 아들은 인품이 훌륭하고 재능이 있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갑자년에 귀양갔다가 병인(1506)년에 동시에 사사(
칠석요 / 七夕謠 [문학/구비문학]
칠석날에 부르는 민요. 세시민요의 하나로 그 종류도 다양하다. 대표적인 노래는 다음과 같다. “칠월칠석 오늘밤은 은하수 오작교에/견우직녀 일년만에 서로반겨 만날세라/애야애야 애야좋네 칠석놀이 좀더좋네/(후렴)/……/까치까치 까막까치 어서빨리 날라와서/은하수에 다리놓아
칠성본풀이 / 七星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부신(富神)의 신화인 동시에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차(祭次). 제주도의 경우, 칠성을 한집안의 수호신인 조상신으로 모시는 집안도 있고, 표선면 성읍리의 경우와 같이 마을의 수호신인 당신(堂神)으로 모시는 곳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칠성풀이 / 七星─ [문학/구비문학]
호남 지역 일대에서 전승되는 서사무가. 최장복본에서는 매화부인이 칠성님의 소박하는 말을 듣고 곡기를 끊고 죽은 후에 아들 칠 형제가 아버지 밑에서 크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장복본에는 판소리사설에 있는 기자치성 태몽 등이 그대로 수용되고 있어, 후대의 개작이 많
칠월식고 / 七月食苽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국한문 필사본. 4음보 1행으로 총 68행이며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수운가사(水雲歌辭)』 10편 중 제8편에 수록되어 있다. 김광순(金光淳)이 경상북도지방에서 발굴하여 소장하고 있다. 삼복더위의 저문 날 꿈속에 ‘칠월식고’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