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유도헌 / 柳道獻 [종교·철학/유학]
1835년(헌종 1) ∼1909년(융희 3). 조선 말기 유학자. 증조는 유종춘, 조부는 유상조, 부친은 유진한. 생부 유진익과 생모 이휘승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이휘존의 딸, 둘째 부인은 황하진의 딸이다. 산림처사로 은거하면서
유동수 / 柳東秀 [예술·체육/체육]
대한제국기 우리나라 야구 발전에 밑거름이 된 체육인. 개화기에 일본에서 유학하던 중, 1909년 1월 동경에서 설립된 재일본 한국 유학생 단체인 대한흥학회(大韓興學會)의 설립에 참여하였다. 윤기현(尹冀鉉)·변희준(邊熙駿) 등과 같이 대한흥학회의 운동부를 맡아 모국을 방
유동열 / 柳東說 [역사/근대사]
1877-?.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105인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고 만주로 망명, ‘대한독립선언서’ 작성에 참여하였다. 상해임시정부 참모총장 등을 지내고 민족혁명당을 조직하였다. 광복 후 귀국, 초대 통위부장을 지냈다. 6·25 때 납북되었다.
유동하 / 劉東夏 [역사/근대사]
1892-1918. 독립운동가. 이명은 강로(江露). 함경남도 덕원 출신. 1909년 10월 노령 코트지로의 자택에서 아버지와 안중근(安重根)·우덕순(禹德淳)·조도선(曺道先)·김성화·탁공규(卓公奎)와 더불어 구국혁신을 맹세하는 ‘7인동맹’을 조직하였다. 1909년 10
유득공 / 柳得恭 [역사/조선시대사]
1748(영조 24)∼1807(순조 7). 조선 후기의 실학자.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고, 시문에 뛰어난 재질이 인정되어 1779년(정조 3)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로 들어가 활약이 컸다. 그 뒤 제천·포천·양근 등의 군수를 거쳐 말년에는 풍
유득일 / 兪得一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 정 증손, 할아버지는 여해, 아버지는 창, 어머니는 이척연의 딸이다. 박세채의 문인이다. 1677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유림 / 柳林 [역사/근대사]
1894-1961.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인. 호는 단주(旦洲). 3·1운동 후 중국으로 건너가 상해임시정부 의정 의원과 국무위원 등을 지냈다. 광복 후 임시정부 비상국민회의 부의장·독립노동당 당수·대한국민의회 의장 등을 지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
유만주 / 兪萬柱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그의 자세한 행적과 가족관계는 미상이며, 1882년(고종 19)에 진사과에 장원급제하여 그 해에 학행을 인정받아 사헌부지평에 제수되었다. 김학진·김윤식·남정철·심기택·윤수오 등과 폭넓은 교유를 하였다. 저서로는『백거시초』4권 4책
유명견 / 柳命堅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격 증손, 할아버지는 시행, 아버지는 영, 어머니는 이윤신의 딸이다. 1672년(현종 1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대사간,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701년 장희재 등과 인현왕후를 살해하려 하였
유명천 / 柳命天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705(숙종 31). 조선 후기의 문신. 격 증손, 할아버지는 시행, 아버지는 영, 어머니는 이윤신의 딸이다. 관찰사 석에게 입양되었다. 1672년(현종 13)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정언·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675년(숙종 1) 이조좌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