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송익수 / 宋翊洙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송시영의 후손으로 송흠석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영민하고 용모가 단정하였다. 과목마다 번거롭게 감독하지 않아도 스스로 독서할 줄을 알았으며, 과거 공부를 그만두고 강재의 문하에 나아가 공부하였다.『심경』‧『근사록』을 가까이 두고 읊으며 책 읽기를 게을리하
송익필 / 宋翼弼 [종교·철학/유학]
1534-1599. 조선 선조 때의 유학자. 관직에는 오르지 않았고 고양의 구봉산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이와 기는 서로 독립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선후로 나눌 수도 없다고 하였다. 사단과 칠정을 모두 정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기호
송인 / 宋寅 [종교·철학/유학]
1517(중종 12)∼1584(선조 17). 조선 전기의 학자. 질 손자, 지한 아들, 어머니는 의령남씨이다. 어려서 어머니가 죽자 외가에서 자랐다.10세에 중종의 셋째 서녀인 정순옹주와 결혼하여 여성위가 되고, 명종 때 여성군에 봉해졌다. 의빈부·충훈부·사옹원·상의원
송인명 / 宋寅明 [종교·철학/유학]
1689(숙종 15)∼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시철의 증손, 할아버지는 광연, 아버지는 징오, 어머니는 이단상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을 거쳐 동부승지, 이조판서,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
송인박 / 宋寅鏷 [종교·철학/유학]
1861-1945. 고조는 희윤, 증조는 상근, 조는 심환이다. 어려서 족조인 송운찬에게 나아가 운찬의 아들 재관과 함께 수학하여 경사를 익히고, 시재가 있어서 권상한으로부터 당인의 풍조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선배인 김노수, 권세연, 신석정, 김동진등과 교의가 있었
송인수 / 宋麟壽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47(명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계사 고손, 순년의 증손, 할아버지는 부사 여해, 아버지는 세량이다. 어머니는 유승양의 딸이다. 1521년(중종 16)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가 되었다. 그 후 사헌부지평, 전라도관찰사, 예
송일원 / 宋一源 [종교·철학/유학]
1664∼1713. 송시열의 증손이다. 세마를 제수 받아 왕자의 사부가 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영민하고 뜻이 높아 증조인 문정공이 덕원의 장발에 귀향갔을 적에 나이 겨우 열 살이었지만 남북으로 따라다니며 과목을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여 덕기을 성취하였으니, 실로 여
송자대전 / 宋子大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송시열의 시문집. 215권 102책. 목판본. 1787년(정조 11)에 간행되었다. 송시열의 문집은 ≪송자대전≫의 간행에 앞서 두 종류가 더 있다. 즉, 1717년(숙종 43)에 민진후의 건의에 따라 왕명에 의하여 교서관에서 철활자로 간행한 ≪
송자대전 / 宋子大全 [종교·철학/유학]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5책이며,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2.1×21.8cm이고, 반곽은 21.3×16.4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송자대전(宋子大全)이다.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것으로, 권수는 27권 15책이다.
송재경 / 宋載經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8∼1793). 음보로 벼슬길에 올랐으나 1764년(영조 4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이조참판·한성부좌윤·강화유수 등 내외직을 두루 거쳤다. 사신으로 임명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