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조인규 / 趙仁規 [종교·철학/유학]

    1237(고종 24)∼1308(충렬왕 34). 고려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조영이다. 평양부 상원의 미미한 가문 출생이었으나 몽고어 통역관으로 출세해 충선왕의 장인이 되었으며 권문세가의 반열에 올랐다. 그의 아들은 조서, 조련, 조연수, 조위 등인데, 모두 재상의 지위

  • 조인영 / 趙寅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2∼1850). 1819년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1826년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뒤로 이조참의·대사성·세손좌유선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1839년 천주교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을 주도하였고, 우의정에 올라《척사윤음》을

  • 조인희 / 趙寅熙 [정치·법제/정치]

    1822-?. 조일수호조규 당시 강수관. 1875년 진위 겸 진향부사에 임명되었다. 1876년 6월 5일 일본국 이사관 미야모토가 제물포에 도착, 당시 행호군으로서 강수관에 임명되었다. 따라서, 미야모토와의 접촉과정에서 선박의 항세 및 화물 수출입의 관세를 면제하는 실

  • 조일수호조규속약 / 朝日修好條規續約 [역사/근대사]

    1882년 8월 30일 조선 전권대신 이유원과 일본 관리공사 하나부사 사이에 체결된 전 2조로 된 조약. 수호조규속약은 조일수호조규부록을 협상할 때 우리측의 강력한 반대로 후퇴할 수 밖에 없었던 간행이정(間行里程)을 확대하는 것과, 일본인 외교관과 그 수행원 및 가족의

  • 조일약장합편 / 朝日約章合編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법류(政法類)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編), 금속활자본(전사자), 불분권 1책(45장). 1876년 병자한일수호조약부터 1889년 조선, 일본 양국통어장정까지 조일간에 맺어진 11조약을 수록한 책이다.

  • 조일잠정합동조관 / 朝日暫定合同條款 [역사/근대사]

    1894년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조선에서의 일련의 이권, 즉 경부·경인간 철도 부설권 및 전신선 설치·관리권, 목포항 개항 등을 획득하기 위해 일본공사 오토리는 7월 30일자로 조선에 조약체결을 요구하였다. 한동안 정세를 관망하던 조선은 드디어 8월 20일

  • 조일재 / 趙一齋 [예술·체육/연극]

    1863-1944년. 소설가·신극운동가. 본명은 중환(重桓). 일재(一齋)는 호이다. 서울 출생. 개화기에 가장 많이 활약한 번역문학가·소설가였으며 동시에 신파극운동가였다. <매일신보>의 기자로 있으면서 1912년 윤백남(尹白南)과 함께 신파극단 문수성(文秀星)을 발

  • 조일통상장정 / 朝日通商章程 [정치·법제/외교]

    1883년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장정. 1881년 10월 조병호가 일본에 제출한 조선측 통상장정안인 신수통상장정초안에는 조사시찰단의 통상관련 보고 내용이 반영되었다. 이후 조선측 전권대신 민영목과 일본측 전권대신 다케조에는 1883년 6월 22일(양력 7월 25일

  • 조임도 / 趙任道 [종교·철학/유학]

    1585(선조 18)∼1664(현종 5). 조선 후기의 학자. 식 아들, 어머니는 유상린의 딸이다. 김중청·고응척·장현광 등을 사사하였다.1604년(선조 37) 향시에 합격, 그 이듬해인 21세 때 『관규쇄록』을 저술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거상대절」10조를

  • 조재원임명문서 / 趙在元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1월 11일. 조재원(趙在元)을 조경묘 참봉 판임관 8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조경묘는 전주이씨의 시조 이한(李翰) 부부의 위패를 봉안한 전각이다. 조재원이 서임된 참봉직은 조선시대의 원, 능전을 비롯한 많은 관서에 속해 있었던 최말단직의 품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