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조위경 / 趙緯經 [종교·철학/유학]
1698년(숙종 24)∼1780년(정조 4). 조선 후기 성리학자. 부친은 조언철이다. 경전을 익히며 학문에 매진하였다. 남을 대할 때에도 한결같이 예의에 어긋나지 않아서 사람들로부터 군자다운 모습을 지녔다는 칭송을 받았다. 박손경과 이상정·이광정 형제들과 도의로 교
조유수 / 趙裕壽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형, 아버지는 상변이다. 1688년 관학의 유생으로서 박세채의 신원을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694년 천거로 희릉참봉을 거쳐, 장흥고주부·연풍현감·옥천군수·회양부사를 지냈고, 이어 선
조윤대 / 曺允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8∼1813). 헌주 증손, 할아버지는 하망, 아버지는 명준이다. 어머니는 한사억의 딸이다. 1779년(정조 3) 정시문과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쳤다. 소론계 인물로 옥사를 일으키기도 하였으며,《정조실록》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이조참판 등
조윤수 / 曺允遂 [종교·철학/유학]
1753년(영조 29)∼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조헌주, 조부는 조하망이다. 부친 조명억과 모친 한사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1785년(정조 9) 알성시에 병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1793년(정조 17) 남포현감으로 있을 때 백성을 진휼한 치적으로 아마를
조윤옥 / 趙壽玉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국가축구대표팀 감독, 대우 프로축구팀 감독 등을 역임한 체육인. 조윤옥은 서울 출생으로 서울 동북중학교 2학년 때인 1954년 축구를 시작하여 1968년까지 15년간 선수생활을 하였고, 1973년 포항제철축구팀 코치를 시작으로 1990년까지 18년간 축구지도
조윤형 / 曺允亨 [종교·철학/유학]
1725∼1799. 조선후기의 문신. 부친은 조명교, 어머니 윤춘교의 딸이다. 문음과 학행으로 천거되어 1766년(영조 42)처음 벼슬길에 나간 이후의 관력을 서술했고, 특히 그림과 글씨에 능했는데, 공사간의 비문들이 대부분 그의 손으로 이루어졌음을 강조했다.
조읍포창 / 助邑浦倉 [경제·산업/경제]
황해도 금천군 조읍포에 설치되었던 조선 전기의 조창. 조읍포창에서는 강음·황주·서흥·평산·봉산·곡산·수안·안악·재령·신계·우봉·토산 등 12고을의 세곡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일정한 기일 안에 경창으로 운송하였다. 운송항로는 금곡포창과 마찬가지로 예성강과 한강의 수로를
조이수호통상조약 / 朝伊修好通商條約 [역사/근대사]
1884년 6월 26일에 조선과 이탈리아 사이에 체결된 수호통상조약. 이탈리아는 주청공사인 루카(Luca, F. de, 盧嘉德)를 전권대신으로 조선에 파견하여 조선의 전권대신인 김병시와 조약 체결을 교섭하게 하여 1884년 6월 26일에 전문 13조로 된 이 조약을 체
조익 / 趙翼 [종교·철학/유학]
1579(선조 12)∼1655(효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안국 증손, 할아버지는 간, 아버지는 영중이다. 어머니는 윤근수의 딸이다. 장현광·윤근수의 문인이다. 정포만호,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위의 논술 외에 문집으로 ≪포저집≫ 35권 18책이
조익정 / 趙益貞 [종교·철학/유학]
1436(세종 18)∼1499(연산군 5). 조선 전기의 문신. 신 증손, 할아버지는 안평, 아버지는 온지, 어머니는 오축의 딸이다. 1465년(세조 11)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공조참판, 춘추관동지관사, 경상우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