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서귀포수력발전소 / 西歸浦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제주도 서귀포시 서귀동 천지연에 있었던 수력발전소. 제주도 최초의 발전소로서 200㎾급 수력발전설비 1기가 1943년 11월에 준공되어 1972년 7월까지 약 29년간 가동되었다. 또한 발전소 구내에 1956년 6월 100㎾급 내연발전기 1대가 증설되어 10년간 운용되

  • 서로전신선 / 西路電信線 [경제·산업/통신]

    1885년에 준공된 한성에서 의주 간의 전신선로. 우리 나라 최초로 가설된 전선이다. 이 전신선은 중국은 물론 중국을 경유하여 세계 각국과 전신에 의한 통신의 길을 열어 줌으로써 국제전신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을 뿐 아니라, 1870년대 이후 계속되어 온 개화파들의 의지

  • 서병조 / 徐丙朝 [역사/근대사]

    1882년(고종 19) 7월 28일∼1952년 2월 29일. 일제 강점기의 실업가‧관리‧정치가. 창씨한 이름은 대봉병조(大峰丙朝), 본관은 대구(大丘)이다. 대구 지역의 대지주이자 유력자로, 경제인으로서 활동하였다. 1909년 대구잠업전습소(大邱蠶業傳習所) 소장, 대구

  • 서봉장 / 瑞鳳章 [역사/근대사]

    1907년 3월 칙령으로 반포된 훈장. 서봉장은 내외명부 중에서 숙덕과 훈로가 특별한 자에게 황후의 휘지로 1등에서 6등까지의 등차를 두어 수여되었다. 1등의 정장은 대수로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에 드리우고, 부장은 오른쪽 가슴에 달았다. 2등장은 왼쪽 가슴에

  • 서북영림창 / 西北營林廠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시기에 압록강과 두만강 연안의 삼림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 1907년 4월 서북영림창관제의 반포와 함께 설치되어 대한제국의 멸망 때까지 존속하였다. 영림창의 최고책임자는 칙임 또는 주임에 해당하는 창장이며, 그 밑에 사무관, 기사, 주사, 기수 등을 두

  • 서북철도국 / 西北鐵道局 [역사/근대사]

    서울과 신의주 사이에 경의선을 부설하기 위하여 1900년 궁내부에 설치한 관서. 대한철도회사를 건립한 박기종이 1899년 7월 6일 경의선 부설권을 취득하게 되었는데, 대한제국은 1900년 6월 궁내부에 서북철도국을 설치하였다. 이후 1902년 서울과 개성 구간의 기공

  • 서북학회 / 西北學會 [역사/근대사]

    1908년 서북, 관서, 해서지방 출신자들이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애국계몽단체. 국권회복운동이 더욱 어렵게 되자, 이러한 제약을 보다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서우학회와 한북흥학회를 통합하여 1908년 1월 조직하였다. 회원은 2,300명 정도에 이른 것으로 추산된다.

  • 서상우증시문서 / 徐相雨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고 판서 서상우(徐相雨)에게 '문헌(文憲)'이라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근학호문왈문 행선가기왈헌'이라 적어 문헌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융희 4) 7월 26일 순종은 28명에게 시호를 내렸다.

  • 서상천 / 徐相天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역도연맹회장, 대한씨름협회 회장 등을 역임한 체육인. 본관은 달성,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대지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9년휘문의숙(徽文義塾)을 거쳐 1923년 일본 체조학교를 졸업하였다. 1926년 귀국하여 휘문고등 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일본 체조

  • 서성대훈장 / 瑞星大勳章 [역사/근대사]

    1902년 9월 추가로 제정, 반포된 훈장. 훈등은 대훈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이화대훈장 위에 있어 황친 및 문무관 가운데서 이화대훈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공이 있을 때 황제의 특지로 수여하였다. 패용할 때는 정장이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에 드리우고 부장은 왼쪽 가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