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총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원급준경영경묘대빈묘완왕묘고유제진설도 / 園及濬慶永慶墓大嬪墓完王墓告由祭陳設圖 [정치·법제]
원, 준경묘, 영경묘, 대빈묘, 완왕묘에서 고유제를 지낼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이왕직에서 정리하여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원세개 / 袁世凱, [정치·법제/외교]
1859-1916. 조선 주재 청국 총리교섭통상대신. 중화민국 초대 대총통. 원세개가 두각을 나타낸 사건은 1882년 조선에서 발생한 임오군란이었다. 1884년 일부 청군의 철수를 틈타 조선의 개화파가 정변을 일으키자 원세개는 청군을 출동시켰다. 그리하여 일본군을 패퇴
원소도감 / 園所都監 [정치·법제]
왕가의 묘소 조성을 위해 임시로 마련된 관서. 왕세자나 세자빈 및 왕의 친척 등의 묘소 조성을 위해 임시로 마련되었으며, 원소 조성의 과정을 기록한 <원소도감의궤>를 편찬하였다.
원소호석배립장계 / 園所虎石排立狀啓 [정치·법제]
1753년(영조 29) 9월 26일. 홍봉한(洪鳳漢)이 영조에게 어느 원소에 호석을 배진하고 배립하는 일에 대하여 진행 상황을 보고한 장계. 이 문서내용은 신시경에 호석을 배진하고 배치 장소를 측량, 결정하였으며, 내일 공역을 한다는 치계이다. 승정원을 거쳐서 국왕에게
원손관례교서 / 元孫冠禮敎書 [정치·법제]
1761년(영조 37) 원손 성과 왕손 인, 진에게 내리는 관례 교서. 이 교서는 절첩장의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다.《승정원일기》에 왕세손의 관례 교서를 작성한 기사가 1761년(영조 37)에 실려 있다. 이 교서도 당시에 제작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문서는 작위
원숙강증시문서 / 元叔康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 원숙강(元叔康)에게 '정민(貞愍)'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청백자수왈정 재국봉간왈민'이라 적어 정민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원숙강특증문서 / 元叔康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교리를 지낸 고 원숙강(元叔康)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순종실록》의 기사에는 원숙강을 정2품 규장각제학에 추증하라는 순종의 명이 있다.
원시 / 院試 [정치·법제/법제·행정]
한성부와 경기에 거주하는 자를 대상으로 한 무과 초시. 훈련원이 주관하였다. 본래 원시는 병조와 훈련원이 공동으로 시취하였으나 세종 9년(1427)부터 문과의 관시의 예에 따라 훈련원이 단독으로 시취하게 되었다. 선발인원은 태종 2년에 50원(경기에서는 별도로 40인
원자부 / 元子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태종 때 원자의 교육을 위하여 특별히 설치하였던 관서. 1402년(태종 2)에 원자 제(양녕대군)를 위하여 성균관의 동북 모퉁이에 별도의 학당을 세우고 명칭을 경승부라 하였다. 관원으로는 좌·우유선 2인, 좌·우시학 2인, 좌·우동시학 2인을 임명하였고, 또 실
원작헌례급기진제진설도 친제동 / 園酌獻禮及忌辰祭陳設圖 親祭同 [정치·법제]
원(園)에서 작헌례나 기신제를 거행하거나 묘에서 기신제를 거행할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정리하여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