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제도 총 2,1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제도
좌유선 / 左諭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강서원의 관직. 정원은 1인이다. 3품 당하관 이상 종2품 이하의 관원 중에서 임명하였다.
좌윤 / 左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의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9년(예종 1) 한성부에 설치되었다. 즉, 한성부에는 종2품의 윤(尹)이 2인 있었는데, 1469년의 관제개혁 때 좌윤 1인, 우윤 1인으로 개칭하였다. 그 뒤 그대로 존속되다가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좌의정 / 左議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좌의정은 1400년(정종 2) 4월 고려 충렬왕 이래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되면서 설치되었다. 1401년(태종 1) 7월 비로소 문하부를 혁파하고 의정부적인 것으로 개칭, 의정부좌정승으로 고쳤다. 1414년 6월
좌익선 / 左翊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강서원의 종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세손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좌익위 / 左翊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5품 관직. 우익위(右翊衛)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사어(左司禦)가 변하여 된 것으로, 우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서강독의 질의응답에 참가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격하였다. 강연 외에 담제의례, 왕세자의 사·부·빈객 상견례
좌익찬 / 左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우익찬(右翊贊)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익위(左翊衛)가 변하여 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우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 자
좌자의 / 左諮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 고려 말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두면서 비롯되었으며,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승·우승, 하위의 좌우장사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
좌장례 / 左掌禮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때 장례원에 둔 관직. 관등은 주임관이며, 정원은 1인이다. 우장례 1인과 함께 궁중의 제반의식, 제사, 능묘, 종실, 귀족들에 관한 사무를 맡았다. 조선시대 통례원은 1894년 갑오개혁 때 종백부(宗伯府)로 개편하였으나 1895년 장례원으로 개칭하고 경 1인
좌장사 / 左長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6품으로 무관직이다. 우장사(右長史)와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의 강(講)과 질의응답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좌종사 / 左從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정7품으로 무관직이다. 우종사(右從史) 1인과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에 참가하였다. 1448년(세종 30)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직이 겸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