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위백규 / 魏伯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27∼1798). 천거로 옥과현감·장원서별제·경기전령 등을 지냈다. 경세론은 물론 경학·지리·역사·의학 등에 밝아 실학자적인 면모를 갖추었다. 저서로 《정현신보》·《본초강목》·《고금》등이 있다. 죽천사에 배향되었다.

  • 유건 / 柳健 [종교·철학/유학]

    1708년(숙종 34)~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유장운, 조부는 유환, 부친은 유창진이다. 외조는 이천재, 처부는 이기조이다. 1733년(영조 9) 식년시 생원 3등 68위와 진사 2등 23위로 입격하였고, 1743년(영조 19) 정시 병과 18위로 문과 급제하

  • 유겸명 / 柳謙明 [종교·철학/유학]

    1685(숙종 11)∼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현 증손, 할아버지는 세헌, 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허식의 딸이다. 1719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이 되었다. 이어 병조좌랑, 정언, 홍문관수찬, 용인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만수재소차』가

  • 유경시 / 柳敬時 [종교·철학/유학]

    1666(현종 7)∼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증조가 우잠, 할아버지는 학, 아버지는 동휘이다. 별시문과에 유학으로 병과 12인에 급제하였다. 문한관과 외직을 거쳐 1732년(영조 8) 장령에 올라 김정·김시발의 옥사를 변명하는 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 유계 / 兪棨 [종교·철학/유학]

    1607(선조 40)∼1664(현종 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대경, 아버지는 양증, 어머니는 이신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송시열·송준길·윤선거·이유태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으로 일컬어졌다. 저서로는 문집인『시남집』이 있다.

  • 유관 / 柳灌 [종교·철학/유학]

    1484(성종 15)∼1545(명종 즉위년). 조선 중기의 문신. 상영의 증손, 할아버지는 주, 아버지는 정수, 어머니는 박윤손의 딸이다. 1507년(중종 2)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 사헌부집의, 통정대부, 우부승지, 이조

  • 유관순 / 柳寬順 [역사/근대사]

    1902-1920.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1916년 이화학당 교비생으로 입학하고,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고등과 1년생으로 맨앞에서 독립만세를 선창하며 격렬하게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불굴의 투혼으로 옥중 항쟁을 계속하다 1920년 19세의 나이로 끝내

  • 유귀삼 / 柳貴三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부는 유응성, 아버지는 유광문이다. 임익하의 딸과 결혼하였다. 박세채의 문인이며 윤증과 먼 인척 관계이다. 아들은 유만중이다.

  • 유극량 / 劉克良 [역사/조선시대사]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연안 유씨의 시조이다. 어머니는 재상 홍섬의 노비였다. 어려서부터 고학을 해 무과에 급제하였다. 당시의 신분 제도에서는 과거에 응시할 수 없는 노비 출신이었으나, 홍섬의 깊은 배려로 노비 신분을 면제받았다. 전라좌수사, 조

  • 유금필 / 庾黔弼 [종교·철학/유학]

    ?~941년(태조 24). 고려 전기의 무신. 태조를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데 커다란 공을 세워 개국공신이 되었다. 929년 견훤이 고창군(古昌郡)을 포위·공격하자 많은 장수들이 진군을 망설였다. 그러나 유금필은 홀로 결사적인 태도로 임해 저수봉(猪首峰)으로부터 돌격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