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제도 2,1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제도
  • 좌복야 / 左僕射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성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995년(성종 14)에 상서성이 설치되면서 처음 두었고 문종 때 품계와 정원이 정하여졌다. 우복야 및 정3품의 6부 상서와 한묶음이 되어 8좌(座)라 통칭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의 혁파와 함께 폐지, 1

  • 좌부대언 / 左副代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왕명의 출납 및 숙위·군기의 정사를 관장하던 밀직사의 정3품 관직. 1310년(충선왕 2) 좌부승선의 후신인 좌부승지를 개칭한 것이다. 1356년(공민왕 5) 좌부승선, 1362년 좌부대언, 1369년 좌부승선, 뒤에 다시 좌부대언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건

  • 좌부승지 / 左副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5년(태종 5) 승정원이 독립관아가 될 때에 좌부대언으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1433년(세종 15) 지신사를 도승지로 개칭하는 조처에 따라 좌부승지로 개칭되면서 정립되었다. 이것이 ≪경국대전≫에 명문화되어 한

  • 좌사어 / 左司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종5품 관직. 우사어(右司禦)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 세자관속에서 익위사를 분리, 설치하면서 좌사어는 좌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부·빈객 상견례 등에서 우사어와 함께 좌우로 나뉘어 익찬

  • 좌세마 / 左洗馬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9품 관직. 우세마(右洗馬)와 함께 잡직을 담당하였다. 왕세자를 배종보위하면서 900일을 근무하여야만 참상인 6품으로 승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러나 처음에는 재임연한에 따른 승급기간이 없어서 폐단이 되자, 이에 1년을 지낸 뒤 시직(

  • 좌승선 / 左承宣 [역사/근대사]

    구한말 승선원의 관직. 1894년 갑오개혁으로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를 두었다. 이 개편의 일환으로 종래의 승정원을 고쳐 승선원을 두었는데, 여기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이다. 정원은 1인으로 약제를 겸임하도록 제도로 규정하였으며, 탁지아

  • 좌승지 / 左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1392년(태조 1) 7월의 태조신반관제때 중추원의 승지방에 도승지·좌승지 등 5승지를 설관하여 왕명출납을 맡았다. 1400년(정종 2) 4월에 도평의사사를 의정부, 중추원을 의흥삼군부로 개편할 때 승지방이 승정원으로 독립하여 좌승

  • 좌시직 / 左侍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8품 관직. 우시직(右侍直)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자를 배호하면서 사만(仕滿) 2년 뒤에 참상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삭수가 없어서 폐단이 되자, 이에 1년을 지낸 뒤 부수(副率)가 되도록 하고, 다시 1년 뒤에 비로소 승륙하여

  • 좌우규정소 / 左右糾正所 [종교·철학/불교]

    조선 후기 전라도 지방의 승려를 감독, 규찰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서. 1703년(숙종 29) 선암사(仙巖寺)의 원로승려 약휴(若休)에 의하여 창설되었다. 금산사(金山寺)에 우규정소, 옥룡사(玉龍寺)에 좌규정소를 설치하고 각기 전라 좌우도의 사찰을 관장하였다. 약휴 자

  • 좌위수 / 左衛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종6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세자를 배위하는 일을 맡았다.

페이지 / 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