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상고 / 商高 [교육/교육]

    학교기관. 주로 상업에 관한 지식과 기술 등의 전문 교육을 하는 실업 고등학교.

  • 상궁엄씨교지 / 尙宮嚴氏敎旨 [정치·법제]

    1882년(고종 19) 1월. 고종이 상식인 엄씨를 상궁(尙宮)으로 삼는다는 교지. 상식(尙食)은 내명부에서 음식을 담당하는 벼슬로 종5품에 해당되고, 상궁은 내명부의 정5품에 해당된다. 상궁은 그 직책에 따라 명칭이 다르고 직급도 다르다.

  • 상동광산 / 上東鑛山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에 있었던 중석 광산. 1916년 4월 노두(露頭)가 발견된 뒤 1923년 일본인이 개광, 개발하여 오다가 1948년 8월 상공부 직할 기업체로 운영하게 되었다. 1952년 대한중석광업주식회사가 인수하여 국영체제로 운영되다가 1969년 이후

  • 상무연구회규칙 / 常務硏究會規則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산업류(産業類) 상무연구회(商務硏究會) 편, 신연활자본, 미상, 불분권 1책(16장). 서문은 대정9년(1920) 홍진용(洪鎭褣)이 썼다. 회장 김광희(金光熙) 등으로 이루어진 상무연구회의 규칙을 적은 책이다. 한글 현토본이다.

  • 상방사 / 尙方司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임금의 의복과 물건 등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905년 3월 궁내부 관제를 개편할 때 상의사를 개칭하여 상방사를 두었다. 어복, 어물과 제실의 수용물품을 관장하고 피복구매, 복지직조 등을 담당하는 곳으로, 관원은 책임관인 장 1인과 주임관인 이

  • 상서보전 / 尙書補傳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서류(書類). 홍석주(洪奭周) 著, 김학진(金鶴鎭) 校. 신연활자본.1913년 3권 1책. 판권기에 1913년(大正 2), 서문에 己酉(1909)…金鶴鎭으로 되어 있다. 조선광문회본《상서보전(尙書補傳)》으로 제첨 및 표제지에 간행관련 기록 있다.

  • 상원잡영 / 上元雜詠 [문학/한문학]

    1906년황현(黃玹)이 지은 한시. 정월 대보름의 여러 가지 풍속을 읊은 작품이다. 『매천집 梅泉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병오고(丙午稿)가 첫머리에 있는 것으로 보면 1906년 정초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제오 祭烏」·「사우 飼牛」·「치롱 治聾」·「매서 賣暑」

  • 상재상서 / 上宰相書 [종교·철학]

    호교를 논한 책. 정하상이 지었다. 정약종의 둘째아들인 정하상은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체포될 것을 예상하여 이 글을 작성하여 자신이 체포되자 우의정 이지연에게 전달케 하였다. 주요내용은 천주교 교리의설명, 호교론, 신교의 자유에 대한 호승 등이다. 이 글은 1887년 홍

  • 상제교전 / 上帝敎典 [종교·철학/신종교]

    상제교의 교리서. 1920년 최유현이 시천교총부에서 편집 간행하였다. 원래는 '시천교전'이었으나 나중에 '상제교전'이라고 제목을 바꾼 흔적이 있다. 그 이유는 시천교가 1925년에 상제교로 교명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천주장, 인생장, 시천장, 입교장, 도심장,

  • 상제요록 / 喪祭要錄 [사회/가족]

    조선후기 문신·학자 홍석이 상례와 제례를 중심으로 학자들의 예설을 참고하여 저술한 예서. 2권 1책. 인본(印本). 1891년(고종 28)에 완성되었으며, 1933년에 간행되었다. 종래의 여러 예설 가운데 절차가 복잡하고 시비가 많은 상례와 시속적(時俗的)인 요소가 많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