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조동사 / 助動詞 [언어/언어/문자]

    동사 둘이 동사구를 이루면서 뒤쪽에서 그 앞쪽의 동사에 어떠한 보조적 의미를 첨가하는 기능을 하는 부류의 동사. 조동사 중에는 늘 조동사 구실만 하는 것도 있고, 본동사로도 쓰이나 그 환경에 따라 조동사의 구실을 한다고 해석되는 종류도 있다. ‘먹지 말아라.’의 ‘말다

  • 조동윤 / 趙東潤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71∼1923). 1887년(고종 2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동부승지·대사성·형조참의·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1904년 훈2등태극장을 받았고 이듬해 일본육군 시찰의 특명을 받고 일본에 건너가 일본 훈1등 욱일대수장을 받았다. 일진회

  • 조동윤임명문서 / 趙東潤任命文書 [정치·법제]

    배종무관장 조동윤(趙東潤)을 황태자 이은(李垠)의 일본 유학시 배종으로 임명하는 문서. 1907년 11월 19일 순종황제는 조령을 내려 황태자 이은을 일본에 유학시키도록 명하였다. 순종은 당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을 태자태사로 삼았다.

  • 조동좌 / 趙東佐 [종교·철학/유학]

    1809년(순조 9)∼1888년(고종 25).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조술지이다. 처음에는 당숙 조술주 문하에 들어가서 수학하며 과거 공부에 힘썼다. 이후 정재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벼슬에 대한 뜻을 접고 학문에다가 뜻을 둔 후, 명리를 탐하지 않았고, 오

  • 조두록 / 俎豆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이만운(李萬運) 편, 목판본, 미상, 불분권 1책(34장). 표제는 동국조두록(東國俎豆錄)이다. 서미에 두주가 필사되어 있다. 첫 2장과 마지막 3장 하단에 다시 피접이 되어 있다.

  • 조득준 / 趙得浚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농구협회 기술지도위원 겸 이사를 역임한 체육인. 1915∼1958. 평양 출신. 1930년 평양숭인상업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농구를 시작하였으며, 그 뒤 보성전문학교를 거쳐 일본 릿쿄대학(立敎大學) 상학부(商學部)를 나오는 동안 계속 센터로 활약하였다. 농

  • 조득중 / 趙得重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부는 조위한, 부친은 조억이다. 윤선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학행으로 천거되어 건원릉참봉·광흥창봉사를 지냈다. 1694년(숙종 20) 세자익위사익찬에 올랐다. 평소《논어》를 즐겨 읽었으며, 그의 나이 75세에 졸하였다.

  • 조러수호통상조약 / 朝露修好通商條約 [정치·법제/외교]

    1884년 조선과 러시아 사이에 체결된 조약. 1884년 윤 5월 15일(러시아 6월 25일, 양력 7월 7일) 조선 전권공사 외무독판인 김병시와 러시아 전권공사 5등관인 베베르 사이에 조러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여기에는 전문 13조의 조러수호통상조약, 부속통상장정

  • 조령 / 鳥嶺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사이에 있는 고개. 동경 128°03′, 북위 36°45′에 위치하며, 높이는 642m이다. 마역봉(920m)과 깃대봉(835m)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1966년에는 문경 조령 관문이 사적 제147호로, 1981년에는

  • 조령산 / 鳥嶺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17m. 소백산맥 줄기에 있는 산으로, 산맥의 시발점인 태백산부터 소백산·문수봉·월악산을 지나 조령산에 이르는 구간은 고봉이 연속되나 조령산을 지나면서 산들이 차차 낮아져 속리산에 이른다.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