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조능 / 趙稜 [종교·철학/유학]
1607년(선조 40)∼1683년(숙종 9). 아버지는 영원, 어머니는 연안이씨이다. 1607년(선조 40) 장천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자질이 중후하여 어른의 풍도가 있었다. 1618년(광해군 10) 12세가 되던 해에 모친의 상을 당하여 어른처럼 애통해 하였으
조단 / J. N. Jordan [정치·법제/외교]
1852-1925. 주한 영국공사관 총영사 및 대리공사. 1896년 10월 주한 영국공사관의 총영사로 부임하였고, 1898년 3월 대리공사로 승진하였다. 조단은 1898년 9월 획득한 이권을 근거로 금의 매장량이 풍부한 운산금광을 채굴하려 하였다. 1902년 1월 제1
조대수 / 趙大壽 [종교·철학/유학]
1655(효종 6)∼1721(숙종 47). 조선 후기의 문신. 희보 증손, 할아버지는 형, 아버지는 상정, 어머니는 홍명일의 딸이다. 영의정 서문중의 사위이고, 당색은 소론이다. 진사과를 거쳐 1687년(숙종 13) 3월 삼일절제에서 수석해 전시에 곧바로 나가 이 해
조대윤 / 趙大胤 [종교·철학/유학]
1638년(인조 16)∼1705년(숙종 31). 조선 후기 유학자. 고조는 조광헌, 증조는 조정, 조부는 조영원이다. 부친은 조릉이다. 갈암 이현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당쟁이 격화되는 정세를 보고 실망을 느껴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후 벼슬길에 대한 뜻을 접고 학문
조덕린 / 趙德鄰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군이다. 1691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설서·교리·사간,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옥천문집』18권이 있다.
조도 / 鳥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에 있는 섬. 동경 128°03′, 북위 34°41′에 위치하며, 남해도 미조리 해안에서 남쪽으로 약 1㎞ 지점에 있다. 동쪽으로 약 10㎞ 지점에는 두미도(頭尾島)가 있다. 면적은 0.33㎢이고, 해안선 길이는 2.8㎞이다. 2009년 기
조도빈 / 趙道彬 [종교·철학/유학]
1665(현종 6)∼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계원 증손, 할아버지는 희석, 아버지는 태래, 어머니는 윤계의 딸이다.1702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 부수찬·집의를 거쳐 1710년에 승지가 되었다. 1719년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대사성, 호조와
조도패총 / 朝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하리의 조도(아치섬)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조개더미[貝塚] 유적. 유적은 2개 지구로 나뉜다. 제1지구는 김해기(金海期) 패총이며, 제2지구는 신석기시대의 즐문토기문화와 관계된 패총이다. 김해기 패총의 층위는 위로부터 표토층·흑색부식토층·패각층·
조독수호통상조약 / 朝獨修好通商條約 [역사/근대사]
1883년에 체결된 조선과 독일 사이의 통상, 우호, 항해 조약. 이 조약은 조선정부와 독일정부가 처한 특수한 사정으로 두 차례에 걸쳐 수정, 조인되는 번복을 겪었다. 1882년에 조미조약, 조영조약이 체결되자 북경주재 독일공사 브란트(Brandt, M. von)의 노
조돈 / 趙暾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6∼1790). 1740년(영조 16)에 유학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설서·정언을 거쳐 홍문록에 오르고, 부수찬·수찬·교리·헌납·집의를 역임하였다. 1750년에 북평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정배되었다가 부응교·사간·책례도감낭청·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