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조경남 / 趙慶男 [문학/고전산문]
조선시대 『난중잡록』, 『속잡록』 등을 저술한 의병장. 전라북도 남원 출생. 아버지는 사직 조벽(趙璧)이며, 어머니는 남원 양씨이다. 삼학사(三學士)의 심양(瀋陽) 순절소식에 충의를 읊기도 하였다. 사후 주포서원(周浦書院)에 향사됐다. 13세 때인 1582년(선조 15
조경묘춘추분제진설도 친제동 / 肇慶廟春秋分祭陳設圖 親祭同 [정치·법제]
조경묘에서 춘분, 추분에 제사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조경묘는 전주이씨의 시조인 이한(李翰) 부부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정리하여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조경묘함흥본궁영흥본궁칠궁완왕궁고유제진설도 / 肇慶廟咸興本宮永興本宮七宮完王宮告由祭陳設圖 [정치·법제]
조경묘, 함흥본궁, 영흥본궁, 칠궁, 완왕궁에서 고유제를 지낼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된 문서이다.
조계산 / 曹溪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승주읍·주암면에 걸쳐 있는 산. 소백산맥의 말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의 무등산(無等山), 영암의 월출산(月出山)과 삼각형을 이룬다. 산 전체가 활엽수림으로 울창하고 수종이 다양하여 전라남도 채종림(採種林)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동쪽 사면으
조계산도립공원 / 曹溪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도립공원. 면적은 27.38㎢이며, 1979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호남의 명산인 조계산(887.3m)은 산수가 아름답고 계절에 따라 바뀌는 승경이 남다른 곳으로 옛 승주팔승 중에서도 제1승으로 꼽히기도 한다. 이 산은 송광사로 널리 알려져
조계산송광사선암사일원 / 曹溪山松廣寺仙岩寺一圓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송광면의 조계산일대의 명승지. 면적 2,234만 612㎡. 1972년 9월 명승 제5호로 지정되었다가 2009년 12월 9일에 명승 제65호로 재지정되었다. 송광사는 조계산의 서쪽 중허리에 위치하여 울창한 숲속에 아늑하게 자리잡고 있다. ‘법’의
조계원 / 趙啓遠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준수 증손, 할아버지는 남, 아버지는 존성, 어머니는 이신충의 딸이다. 신흠의 사위로 숙부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뒤에 이항복의 문인이 되었다. 1628년(인조 6)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경기감사, 동지
조관빈 / 趙觀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57). 1719년 승지로 특채되고, 1720년(경종 즉위) 대사간·대사성·승지를 거쳐 이듬해 이조참의에 올랐다. 1753년 대제학으로 죽책문의 제진을 거부하여 단천으로 이배되었다. 그해 풀려나와 이후 좌빈객·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철저한
조관식승급문서 / 趙灌植陞級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7일. 6품 승훈랑 조관식을 정3품 통정대부에 가자하는 임명장. 조관식에 대한 인물정보는 상세하지 않다. 순종황제가 일본 황제에게 한국 통치권을 양도하기 이틀 전인 1910년(융희 4) 8월 27일《순종실록》기사에는 많은 한국의 관료를 승급
조광국 / 曺光國 [종교·철학/유학]
1691년(숙종 17) ∼1758년(영조 34).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조진창, 조부는 조효량, 아버지는 조선장이다. 외조부는 곽태재, 처부는 박중영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어버이가 병이 들자 병간호에 조금도 게으르지 않았다. 이러한 효행으로 판서 김상성의 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