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삼성훈경 / 三聖訓經 [언어/언어/문자]

    조선 말기에 간행된 도교 관계 서적. 1책. 목판본. 간기와 책머리의 삼성사실의 기록에 의하면, 1880년(고종 17) 고종의 명에 따라 『과화존신(過化存神)』과 함께 간행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은 관성제군(關聖帝君)이라 하는 관우(關羽)와 문창제군(文昌帝君)이라

  • 삼십본산연합사무소 / 三十本山聯合事務所 [종교·철학/불교]

    일제강점기에 삼십본산이 포교와 교육 등 공동의 사업을 위해 조직한 단체. 1911년 조선사찰령이 반포되어 전국의 사찰이 삼십본산으로 구분되고, 각 본산에는 주지가 임명되었다. 1914년말 삼십본산연합제규를 제정, 선교양종삼십본산회의소를 설립, 다시 삼십본산연합사무소로

  • 삼십일본산 / 三十一本山 [종교·철학/불교]

    일제강점기에 전국 사찰을 31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본산을 두었던 제도. 일제는 1911년 6월 3일 '조선사찰령'을 공포하고, 같은 해 9월 1일 동시행규칙을 발표하였다. 이 법령은 일제의 식민지 종교정책의 하나로 시행된 것으로, 삼십본산을 정하여 전국의 1,300여

  • 삼연가 / 三然歌 [문학/고전시가]

    작가·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삼연(三然)이란 불연(不然)과 기연(其然) 그리고 자연(自然)을 말한다. 불연지중(不然之中)에 자연지리가 있으며, 자연 가운데 불연사(不然事)가 있다고 하여, 세상의 이치가 자연스런 가운데 변화가 있음을 깨우치도록 노래한 가사이다. 이러한

  • 삼옥삼주기전 / 三玉三奏記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소설은 합본되어 있는 「최익성전」과 마찬가지로 남녀 주인공의 영웅적 활약과 이들 간의 결연을 다룬 여성 중심의 영웅소설 유형에 속한다. 그러나 영웅소설에서 일반적으로 설정되는 적대자가 등장하지 않아 뚜렷한 갈등

  • 삼일신고 / 三一神誥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삼일신고><천부경><팔리훈><신사기> 등의 계시경전과 나철이 저술하고 서울이 주해를 붙인 <신리대전>, 서일이 저술한 <회심경> 그리고 윤세복이 임오교변 당시 저술한 <삼법회통>이 있다. 이 중에서 천부경, 삼일신고, 팔리훈은 각각 조화경, 교

  • 삼전론 / 三戰論 [종교·철학/천도교]

    1903년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가 일본에 머무르면서 지은 글. 삼전(三戰)이란 도전(道戰), 재전(財戰), 언전(言戰)을 말한다. 손병희는 일본과 러시아라는 강국 사이에 처한 조선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보고, 국민이 합심단결하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

  • 삼청공원 / 三淸公園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북악산 동쪽 기슭에 있는 근린공원. 삼청공원은 서울의 진산인 북악산 기슭에서 삼청천 계곡을 따라 수목이 울창하게 우거져 도심 속의 자연환경이 잘 갖추어진 근린공원이다. 1934년 3월에 삼림공원(森林公園)으로 지정되어 관리되어 오다가, 1940

  • 삼쾌정 / 三快亭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이 작품은 어사설화를 소설화한 작품으로, 「박문수전(朴文秀傳)」과 같은 계열에 속한다. 이 작품의 첫번째 이야기는 박문수어사설화를 수용한 것이기 때문에, 박문수와 박성수를 같은 인물로 보아도 상관없을 것이다. 이

  • 삼학팔조 / 三學八條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수련요법. 삼학은 인격완성의 세 가지 공부법으로서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를 말하며, 팔조는 삼학을 촉진시키는 신, 분, 의, 성과 삼학수행에서 버려야 할 불신, 탐욕, 나, 우를 말한다. 삼학은 원불교의 종지인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고 이를 실현해 나가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