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제조업 / 製造業 [경제·산업/산업]

    무기 또는 유기물질에 기계적·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활동. 제품생산에는 원자재·기술·자본 등 생산 3요소가 있어야 하며, 어떤 제품을 만드는 것을 전업(專業)으로 하고 그것은 동시에 타인 생산이며 시장에 내다 팔아 영리를 추구하는 하나의 기

  • 제주 / 堤州 [지리/인문지리]

    충청북도 제천지역의 옛 지명. 원래 고구려의 내토군(奈吐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내제군(奈堤郡)이라 고쳤다. 고려초에 제주라 칭하였고 995년(성종 14)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 혁파하였다. 1018년(현종 9) 원주(原州)로 이속시키고

  • 제주 1100고지습지 / 濟州千百高地濕地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중문동과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일대의 소택지. 제주 1100고지습지는 멸종위기종 및 희귀종이 서식하고 독특한 지형에 발달한 고산습지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2009년 10월 1일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10월 12일에는 우리

  • 제주 김녕굴 및 만장굴 / 濟州 金寧窟─萬丈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일대에 걸쳐 있는 용암동굴지대.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다. 김녕굴과 만장굴은 제주도 동북쪽에 있는 용암동굴지대의 대표적 동굴이다. 동굴내부는 일부 구간에 낙반이 산재하고 최기에 동굴생성물의 파손이 있었으

  • 제주 납읍리 난대림 / 濟州 納邑里 暖帶林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에 있는 난대림지대. 천연기념물 제375호. 면적 33,980㎡.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 부락에 인접한 금산공원(錦山公園) 전체가 지정되었다. 제주시 서쪽 평지에 남아있는 유일한 상록활엽수림이며, 종가시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아

  • 제주 당처물동굴 / 濟州─洞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에 있는 용암동굴. 천연기념물 제384호. 면적 857㎡(문화재 지정구역 51,093㎡). 길이 110m, 넓이 5∼15m, 천장 높이 1.5∼3.5m이다. 입구의 크기는 8m x 8m에 달하며, 수직 함몰된 상태이다. 사구층 밑에 밀

  • 제주 동백동산습지 / 濟州冬栢東山濕地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에 있는 소택지. 동백동산습지는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마을에서 동남쪽으로 넓게 분포하는 선흘곶자왈에 속해있다. 이곳은 지하수 함양율이 높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2010년 11월 12일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선정되었다. 2011년 3월 1

  • 제주 물장오리오름 / 濟州─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 한라산 동쪽 산록에 소재하는 화구호를 지닌 분석구. 2010년 10월 28일에 천연기념물 제517호로 지정되었다. 물장오리오름은 한라산 순상화산체의 동쪽 산록 표고 800m 지점에 위치하는데, 이 일대는 태역장올오름·쌀손장올오름·개월이오름·

  • 제주 방선문 / 濟州訪仙門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등동 한천계곡에 소재하는 자연교. 2013년 1월 24일에 명승 제92호로 지정되었다. 방선문계곡은 아치형 바위뿐만 아니라 마식작용으로 만들어진 기암들이 주변의 수목과 조화를 이루어 수려한 경관을 만들어내므로 예로부터 선비와 문인들이 즐겨 찾았던

  • 제주 비양도 호니토 / 濟州飛楊島─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비양도에 있는 호니토. 비양도는 고려 목종 연간인 1002년과 1007년에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추정된다. 호니토(hornito)는 용암이 공중에 튀어 올랐다가 다시 떨어지면서 굳어버린 바위 덩어리로, 용암기종(熔岩氣腫)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