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제1공화국 / 第一共和國 [정치·법제/정치]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 후 1960년 4월혁명으로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까지 존속한 우리나라 최초의 공화헌정체제. 3권분립 원칙에 의한 대통령중심제였다. 철저한 반공주의를 내걸고 국가보안법을 제정, 공산당을 불법화했으며, 미국의 원조를 받아들였다. 이후 부정부패
제2경인고속도로 / 第二京仁高速道路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과 경기도 안양시 석수를 잇는 고속도로. 제15호. 길이 15.5㎞, 노폭 30.6m 이다. 1990년 12월에 착공하여 서창∼광명 사이는 1994년 7월에, 광명∼석수 사이는 1996년 12월에 준공되었다. 이 고속도로는 경기지역 종합 교통망 체
제2공화국 / 第二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대한민국의 두번째 공화헌정체제. 4월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붕괴된 후 6월 15일에 개정헌법이 통과되고 8월 민의원, 참의원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에 윤보선, 국무총리에 장면이 선출되어 1차내각이 이루어짐으로써 출범하여 1961년 5월 16일 군사쿠데타가 일어나기까지 민주당
제2중부고속도로 / 第2中部高速道路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과 경기도 하남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2010년 9월 현재 제2중부고속도로는 터널 3개(하번천터널, 광지원터널, 산곡터널, 총 연장 1,211m), 교량 62개(총 연장 7,565m) 등의 도로 시설과 분기점 2개소(마장, 산곡), 휴게소 1개소(
제3공화국 / 第三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1963년 12월 17일 출범, 1972년 <10월 유신>직전까지 존속한 우리나라의 세번 째 공화헌정체제. 제3공화국의 주요시책으로는 경제개발 5개년계획 추진, 한일국교정상화 추진, 베트남 파병, 8.15평화통일선언 발표, 남북대화 추진, 경부고속도로 건설, 8.3조치
제3대 민의원선거 / 第三代民議員選擧 [정치·법제/정치]
1954년 5월 20일 실시된 국회의원 선거. 발췌개헌을 통해 장기집권의 길을 튼 자유당정권은 종신집권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또 한번 개헌을 단행할 필요성을 느낀다. 그래서 제3대 민의원선거에서 금권과 폭력에 의한 대규모 부정선거를 감행, 거액의 선거자금을 모
제4공화국 / 第四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유신헌법>에 의거, 1972년 12월 27일부터 1981년 3월 2일까지 존속한 우리나라의 4번째 공화헌정 체제. 대통령이 입법, 사법, 행정의 주요 3권을 장악, 전제적 권한을 행사하는 구조의 통치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주요시책으로는 새마을운동, 중화학공업육성정책,
제5공화국 / 第五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1980년 10월 27일 공포 시행된 제5공화국 헌법에 따라 1981년 3월 3일 전두환이 제12대 대통령으로 취임함으로써 정식 출범, 1988년 2월 25일 제6공화국 출범전까지 만 7년 동안 지속된 우리나라의 다섯번째 공화헌정체제. 통치구조의 특색은 대통령 7년 단
제5차 개헌 / 第五次改憲 [정치·법제/법제·행정]
1962년 11월 민정이양을 위한 헌법개정안이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의결된 후, 12월 17일 국민투표에 의해 확정, 26일 공포되어 이루어진 헌법개정. 제3공화국의 헌법이 된 이 개헌안의 주요내용은 대통령제 채택, 소선거구제 채택, 국회의 단원제와 정당국가화에 따른 국
제6공화국 / 第六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1987년 10월 27일 국민투표로 확정된 제6공화국 헌법에 따라 12월 16일 실시된 제13대 대통령선거에서 민정당의 노태우 후보가 당선. 1988년 2월 25일 대통령에 취임함으로써 출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여섯번째 공화헌정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