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정평군 / 定平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 동쪽으로는 함주군과 동해, 서쪽으로는 영흥군과 평안남도 영원군, 남쪽으로는 영흥군, 북쪽으로는 함주군과 평안남도 영원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7°10′∼127°40′, 북위 39°37′∼39°40′에 위치하며, 면적 1,143.55㎢,
정평백로살이터 / 정평백로살이터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리에 있는 백로 서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266호. 광포호의 동쪽 기슭 소나무 숲에 있다. 광포호 서쪽에는 호남벌이 있으며 호수 기슭에는 군데군데 펄이 있어 백로의 좋은 도래지가 되고 있다. 주로 소나무 숲을 이루고 있으며, 백로는 6월 하순∼7월
정평향교 / 定平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 정평군 정평읍 사동천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재실 등이 있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
정포 / 鄭鋪 [종교·철학/유학]
1309(충선왕 1)∼1345(충목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해 손자이다. 책의 아들, 최문도의 사위이다. 정포는 1326년(충숙왕 13) 과거에 급제하였다. 전리총랑, 좌사간대부 등을 역임하였다. 최해의 문인으로 이곡 등과 사귀며 시문과 글씨에 뛰어난 재질을 보였
정필규 / 鄭必奎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31년(순조 31).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정유덕, 부친 정직과 모친 의성김씨 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정필각, 동생은 정필경이다. 김강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교유한 문인으로 김희주·이종휴·이야순·이병원·유치명·유
정필동 / 鄭必東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경업 증손,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태구, 어머니는 김진곤의 딸이다. 민정중의 문인이다. 1684년(숙종 1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현산현감, 사간원정언, 동부승지, 경주부윤, 우승지를 역임하였다.
정하상 / 丁夏祥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순교자(1795∼1839). 정약종의 둘째 아들, 정약용의 조카이다. 로마교황에게 직접 청원문을 올려 선교사 파견을 요청하였고, 이에 1831년 조선교구가 설정되었다. 이후 주교 밑에서 전교활동을 도와 교회발전을 위하여 헌신, 기해박해로 순교하였
정한론 / 征韓論 [정치·법제/외교]
조선을 무력으로 정벌하자는 일본의 침략주의적 팽창론. 정한론은 1868년 메이지유신을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1873년에 이와쿠라 일행의 구미 시찰로 정권을 장악한 사이고 다카모리, 이타가키 다이스케 등은 정환론을 실행에 옮기기로 결정하였다.
정해경전 / 鄭海慶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이 소설은 조선 후기에 성행하던 영웅소설의 사건전개와 인물형상을 따르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특징을 띠고 있다. 첫째, 전반부의 계모에 의한 핍박과 후반부의 영웅 일대기가 결합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후대로 올수록 큰 인
정해기 / 丁亥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용으로 사용되던 육정기 중의 하나. 흰색 바탕의 사각기로 대가의 노부와 어장에 사용하였다. 깃발의 위쪽에는 신형 머리 부분을, 중앙에는 노란 부적 문양을, 아래쪽에는 돼지 머리 문양을 그렸으며, 노란색의 화염각과 기각을 달았다. 기 바탕은 백주, 화염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