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정태래 / 鄭泰來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21년(경종 1).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지서, 생부는 정지일이다. 유일상과 이고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수차례 과거에 낙방한 뒤 벼슬에 뜻을 잃고 은거하였다. 이재장·안일이·권협소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유고로《송설헌유고》가

  • 정태복 / 鄭泰復 [종교·철학/유학]

    1888년(고종 25) 10월 1일~1960년 1월 18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1917년 9월 광복회원이 되었다. 중국 상해에서 가져온 문건을 이재덕과 함께 자신의 집에서 200여 매를 등사, 문건을 서울과 경상도 전역, 그리고 충청남도 지방에 거주하는 부호들에

  • 정태봉 / 鄭太鳳 [역사/근대사]

    1893년(고종 30)∼1942년.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전라남도 화순 출신이다. 1920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자금모집 요청서를 받아 국내에서 군자금모집에 종사하였다. 김두환(金斗煥) 등 10여명과 연합하여 경상도 일대의 부호명단을 작성하고 금품을 모집 하였고, 1

  • 정태제 / 鄭泰齊 [종교·철학/유학]

    1612(광해군 4)∼? 조선 후기의 문신. 휴복의 증손, 할아버지는 호, 아버지는 양우, 어머니는 홍백순의 딸이다. 우의정 강석기의 사위이다. 1635년(인조 13)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 1639년 정언·지평·헌납을 거쳐 이듬해 이조좌랑을 지냈다

  • 정태진 / 丁泰鎭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국어학자·독립운동가(1903∼1952). 조선어학회에서 조선말 《큰사전》 편찬의 일을 맡아보다가,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 조선어학회로 돌아와 조선말 《큰사전》 편찬을 다시 시작하고, 연희대학·중앙대학·홍익대학·동국대학 등에서 국어학 강의를

  • 정태화 / 鄭太和 [종교·철학/유학]

    1602(선조 35)∼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광필 5대손, 유길 증손, 할아버지는 창연, 아버지는 광성이다. 어머니는 황근중의 딸이다. 좌의정 치화와 예조참판 만화의 형이다.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시·문을 모아 엮은 ≪양

  • 정택하 / 鄭宅河 [종교·철학/유학]

    1693(숙종 19)∼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한 증손, 할아버지는 광연, 아버지는 집, 어머니는 오명석의 딸이다. 식에게 입양되었다.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 갑과에 탐화랑으로 급제하여 곧 종묘직장에 제수되고, 시강원의 설서를 거쳐 정언·지평

  • 정토삼부경 / 淨土三部經 [종교·철학]

    정토교의 소의 경전이 되는 세 가지의 책. <무량수경> 2권, <관무량수경> 1권, <아미타경> 1권의 3부이다. 정토사상을 설하고 있는 불경은 약 650여 부의 대승경전 중 200여부나 되는 것으로 그 수가 방대하다. 정토경전을 바탕으로 용수의 저술인 <대지도론>의

  • 정퇴서원 / 靜退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에 있었던 서원. 1634년(인조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와 이황(李滉)·맹희도(孟希道)·홍가신(洪可臣)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같은 해 충효당(忠孝堂)이라는 별사(別祠)를 건립하여 이순신(

  • 정팔품 / 正八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5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8품 문산계의 품계는 통사랑, 무산계는 승의부위로 정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정8품 문무관 처의 직명은 단인(端人)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