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정초청 / 精抄廳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에 설치되었던 군영.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이후 병조판서 이시백의 건의에 의해 병조 소속의 기병·보병을 정초해 이를 정초군이라 하고 번상숙위하도록 하였다. 이후 1668년에 처음으로 정초청으로 승격 발족하였다. 정초청의 목적은 상번 기병의 요역화를

  • 정축기 / 丁丑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용으로 사용되던 육정기 중의 하나. 흑색 바탕의 사각기로 깃발의 위쪽에는 신형의 머리 부분이, 중앙에는 노란색의 부적 문양이, 아래쪽에는 소의 머리 부분이 그려져 있고, 노란색의 화염각과 기각이 달려 있다. 대가의 노부와 어장에 사용하였다. 기 바탕은

  • 정충신 / 鄭忠信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무신. 지 9대손, 아버지는 윤이다. 어머니는 이인조의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의 휘하에서 종군하였다. 부원수, 포도대장, 경상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만운집

  • 정충신설화 / 鄭忠信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명장 정충신에 관한 설화. 주로 한문 야담집에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계서야담(溪西野譚)』의 「정금남충신(鄭錦南忠信)」, 『청구야담(靑邱野談)』·『해동야서(海東野書)』의 「거북산금남성대공(據北山錦南成大功)」, 『동야휘집(東野彙輯)』의 「주석견육자기경(酒席

  • 정충필 / 鄭忠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725∼1789). 경사와 제자백가에 통하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전초에도 뛰어났다. 저서로 《노우문집》이 있으며, 글씨로는 낙선당 손종로와 충노 억부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1783년(정조 7)에 세워진 손종로정충비각에 그의 글씨가 전한다.

  • 정취하 / 鄭就河 [종교·철학/유학]

    1691∼1759. 조선 후기 문신. 정철 후손, 아버지는 정즙이다. 형은 정진하와 정민하, 아우는 정택하이다. 1738년(영조 14) 무오 식년시 생원 3등 20위로 합격하고 1738년(영조 14) 무오 식년시 진사 3등 14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관장을 역임하였다

  • 정칙 / 鄭侙 [종교·철학/유학]

    1601(선조 34)∼1663(현종 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사신, 어머니는 이광준의 딸이다. 광해군의 폭정을 비관하여 과거응시를 포기하고 글만을 읽다가, 1627년(인조 5) 진사가 되고 이어서 참봉에 올랐다. 청나라와 강화가 이루어지자 대명절의를 부르짖고

  • 정칠품 / 正七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3등급의 품계.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7품 문산계는 무공랑, 무산계는 돈용부위(敦勇副尉)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의 돈용부위가 적순부위(迪順副尉)로 그 명칭이 바뀌어 수록되었다.

  • 정탁 / 鄭擢 [종교·철학/유학]

    1363(공민왕 12)∼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공권이다. 1382년(우왕 8) 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후 춘추관수찬관·사헌규정·좌정언·호조좌랑·병조좌랑·광흥창사 등을 역임하였다.1392년(태조 1) 이성계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

  • 정탁 / 鄭琢 [종교·철학/유학]

    1526(중종 21)∼1605(선조38). 조선 중기의 문신. 원로의 증손, 할아버지는 교, 아버지는 이충, 어머니는 한종결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52년(명종 7) 성균생원시를 거쳐 155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우의정, 좌의정, 영중추부사를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