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사천년문헌통고 / 四千年文獻通考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이정구(李定求) 편, 신연활자본, 경성, 동명사(1926), 불분권 1책(293장).《增補文獻備考》의 체재에 따라 단군부터 4천여년의 우리나라 문물제도의 전고를 16考로 엮은 책이다. 한글 현토본이다.

  • 사천읍지 / 泗川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사천군(현 사천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泗川郡邑誌(경상남도사천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5년에 편찬하여 일제강점기 때 필사한

  • 사체가 / 四諦歌 [문학/고전시가]

    1930년대에 필사된 작자 미상의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불교가사. 총 279구. 제목은 고집멸도(苦集滅道)의 사제[四聖諦]를 내세웠는데, 전체 내용은 세상사가 모두 허망한 것이므로 세상일에 탐착(貪着)하지 말고 평소에 시간 날 때마다 염불하여 극락세계

  • 사쿠라다문의거 / 사쿠라다門義擧 [역사/근대사]

    1932년 1월 8일 오전 11시경, 한인애국단원 이봉창이 일본 궁성 사쿠라다문을 나서는 일본 천황 히로히토를 죽이려 했던 거사. 이 사건은 침체되어 가던 우리의 독립운동에 활기를 불어 넣는 촉매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 정계를 발칵 뒤흔들어 놓았다. 즉, 당시 일

  • 사회경제사학 / 社會經濟史學 [역사/근대사]

    일제의 식민사학에 저항하면서 유물론에 입각한 보편주의적 관점을 보였던 역사학.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 이후 역사연구에 유물사관이 도입되어 활용되었다. 유물사관에 의한 한국사 연구는 당시 한국사학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명확히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문적 연구방법이 근

  • 사회란 / 社會欄 [언론·출판/언론·방송]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사회와 관련된 기사를 싣기 위해서 할애하는 지면.

  • 사회학 / 社會學 [사회/사회구조]

    프랑스의 실증주의 철학자 콩트가 창안한 인간사회에 대한 학문. 19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지적 운동의 열매로, 콩트(Comte, A.)와 스펜서(Spencer, H.)에 의하여 개척되었다. 사회는 단순히 개인의 총합이라는 개체주의적 접근을 비판하고, 인간과 사회를 사변적

  • 삭녕지 / 朔寧誌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삭녕군(현 경기도 연천군과 강원도 철원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장서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삭녕군읍지』 1책과 『삭녕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 삭주군읍지 / 朔州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삭주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한세형(韓世衡) 편저의 영조·정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 『삭주부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

  • 산미증식계획 / 産米增殖計劃 [역사/근대사]

    1920년부터 일제가 조선을 자국의 식량공급기지로 만들기 위해 추진한 쌀 증식정책. 조선을 자국의 식량공급기지로 삼기 위해 1920년부터 3차에 걸쳐 추진한 식민지 경제정책이다. 제1차 계획은 1921년부터 1925년까지의 5개년 계획이었다. 제2차 계획은 1926년부

페이지 / 390 go